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젓는소리의 지역별 차이와 의미 -음구조를 중심으로- (A Suduy on the regional differences and meaning of Nojeotneun Sori -In focus on tonal structure-)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1 최종저작일 2012.08
27P 미리보기
노젓는소리의 지역별 차이와 의미 -음구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요학 / 35권 / 33 ~ 59페이지
    · 저자명 : 문봉석

    초록

    본 연구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있는 노젓는소리를 대상으로 토리 및 음계를 분석하여 지역별로 나타나는 차이와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MBC민요대전」, 「북녘땅 우리소리」, 「경기도의 향토민요」 등 총 10종의 자료에서 102곡의 노젓는소리를 동해안, 서해안, 남해안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동해안에 분포된 노젓는소리는 모두 메나리토리로 구성되었다. 구체적으로 동해안의 이북지역은 완전한 형태의 메나리토리를 사용하였고, 그 남쪽으로 강원도를 거쳐 경상북도에 이르러서는 mi-la-do'-re' 및 mi-la-do' 등 메나리토리의 단순화된 형태가 추가로 사용되었다.
    서해안 역시 메나리토리가 전반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육자배기권의 음악문화와의 접변으로 다양한 토리 및 음계가 발견되었다. 구체적으로 서해안의 이북지역은 모두 온전한 메나리토리를 사용하였고, 그 아래 지역인 인천과 경기도에서는 mi-la-do'-re'의 단순형이 추가되었다. 충청도 지역에는 메나리토리와 육자배기토리의 혼합형, 육자배기토리, 남부경토리 등이 추가로 사용되었다.
    남해안의 경우도 메나리토리가 전 지역에 걸쳐 분포하였으나 육자배기 토리, 메나리토리와 육자배기토리의 혼합형 등이 더불어 사용되었다. 특히 mi-la-do'의 음계가 출현하여 동해안의 경상북도와 같이 메나리토리의 약화 현상이 드러났다. 구체적으로 전라도는 다른 지역에 비하여 육자배기토리의 분포도가 높았으며 메나리토리를 육자배기화하여 수용하려는 흔적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경상남도에는 메나리토리와 육자배기토리 외에 경토리, 제주도 해녀소리, 일본풍의 영향으로 토리 및 음계의 다양한 사용 양상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토리별로 전국의 분포 현황을 살펴본 결과 노젓는소리에 사용된 토리 및 음계는 육자배기토리, 메나리토리와 육자배기토리의 혼합형, 남부경토리, 경토리 등으로 다양했다. 그 중 메나리토리가 전국에 걸쳐 빠짐없이 사용되었고 그 분포도도 타 지역 음악어법에 비해 비중이 높았다. 그리고 육자배기토리는 메나리토리에 비해 비록 적은 수이기는 하나 전라도와 충청도를 중심으로 사용되면서 메나리토리와 접변을 이루었고, 그 결과 노젓는소리의 토리 및 음계 사용 양상을 다양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영어초록

    In this thesis, the tori and scale of Nojeotneun Sori which is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regional features. As a result, the regional differences were found an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Nojeotneun Sori in the East Coast area consists Menari tori. Specifically, While only Menari tori has been used in the Northern East Coast area, mi-la-do'-re' and mi-la-do', which are weakened and simplified Menari tori, are added to Nojeotneun Sori in Gangwon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Next, Menari tori han been used for Nojeotneun Sori also in the West Coast area. In addition, it’s interesting that not only Menari tori but also various tori and scales consists Nojeotneun Sori in this area where faces Yukjabaegi culture. While only Menari tori has been used in the Northern West Coast area, mi-la-do'-re' was added in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Nojeotneun Sori in Chungcheong province consists Menari, Menari mixed with Yukjabaegi, Yukjabaegi tori and southern gyeongtori. As a such analysis, unlike the existing point of view, the fact is found that Nojeotneun Sori in the West Coast area consists various tori and scales.
    Menari tori has been used throughout the South Coast area. Specifically, Yukjabaegi tori, Menari mixed with Yukjabaegi were added in Cholla province. In this area, Yukjabaegi tori emerged more frequently, comparing with other regions. It can be supposed that Menari tori has been changed into Yukjabaegi. In Gyeongsang province, Menari, Yukjabegi, gyeongtori and re-mi-sol were added, so tori and scales have been various. Also It was clear Menari tori was weakened because of mi-la-do in the South Coast.
    Finally, as the result of analysing tori throughout the country, Menari, Yukjabaegi, Menari Mixed with Yukjabaegi, Southern Gyeongtori, Gyeongtori were used in Nojeotneun Sori. Among them, Menari was always used, and its portion in the music was bigger than other modes. Yukjabaegi tori which was spread in cholla and chungcheong province was used less frequently than Menari, but It helped to make tori and scale vario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요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