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OECD 순환교육의 정책요소별 변화과정 (A Study of the Change of the Policy Components of the OECD Recurrent Educatio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9.09
28P 미리보기
OECD 순환교육의 정책요소별 변화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교육문제연구 / 37권 / 3호 / 45 ~ 72페이지
    · 저자명 : 조순옥, 이희수

    초록

    이 연구는 OECD 순환교육의 형성과 확산을 탐색하는 가운데 이의 근저가 되는 이론과 실제 이면의 시대별, 정책의 구성요소별 변화 특징을 밝혀보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오늘날 평생학습의 선행자인 순환교육 프로그램의 중요성과 그 이후 순환교육이 평생교육에 미친 영향의 본질을 조명하고자 한다. 여기에서는 1960년대 OECD의 설립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순환교육에 관한 역사적 문서와 발간물을 포함한 각종 문헌을 활용하였다. 순환교육에 관한 공식정책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 및 틀로는 각 시기별 정책의 목표, 대상, 수단으로 하였다. 시기는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로 나누었다.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순환교육의 도입 자체로 교육의 의미가 절대적으로 확장됨에 따라 보다 더 접근가능하고 다양화된 개념을 형성하기 위하여 정책의 핵심 요소가 개선되었다. 둘째, 비록 OECD가 원래의 목적인 자아실현과 자기성취를 뒤로하였지만 OECD는 사회진보, 경제성장, 인적자원개발, 사회적응에 관심을 기울였다. 셋째, 순환교육 초기에는 교육개혁이 강력한 동인이었지만 점차 교육휴가제와 바우처 같은 재정지원 프로그램이 순환교육의 핵심 제도가 되었다. 넷째, 초기의 순환교육 프로그램은 순환교육에 참여하는 기회를 시민의 기본권으로 간주했으며, 그 결과, 정부는 적극적으로 개입하려고 하였다. 그런데 오늘날 평생학습의 초점은 평생학습 프로그램에서 기업의 역할과 근로자와의 관계뿐만 아니라 개별 학습자의 중요성과 책임을 강조하는 쪽으로 옮겨가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formation and proliferation of the OECD recurrent education and examined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behind its underlying theory and practice. In doing so, this study aimed to shed light on the significance of the program's standing as the first predecessor to contemporary lifelong learning as well as the nature of its influence thereof.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ive of this study, resources were used from the OECD which included historical documents and publications regarding official policy on recurrent education dating back to the organization's establishment in 1960. The method and framework used to analyze the official policy regarding recurrent education included the examination of its goals, target, resources and transitional periods. The time periods were divided between the 1960s, 1970s, 1980s, and 1990s.
    The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s the introduction of recurrent education categorically expanded the meaning of education, key elements were improved to form a more accessible and diversified concept. Second, although the OECD left behind the original goals of self-realization and self-fulfillment, the organization concerned itself more with social progress, economic growth,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and social adaptation. Third, though educational reform was a strong driving force in the early days of recurrent education, the financial aid program that carried the weight of the educational leave system and voucher system gradually became the core element of recurrent education. Fourth, the recurrent education program initially regarded the opportunity of participating in it as the basic rights of citizenry and as a result the government would aggressively intervene. Now the focus of lifelong learning is shifted to account for the importance of an individual learner’s role as well as the company's role and relationship with its workers in a lifelong learning progra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교육문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