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별의 시각화: 한반도 천문 전통으로서의 여말선초 별자리도 고찰 (Visualizing Stars: A Study of 14-15th-Century Asterism Images as a Cheonmun (天文) Tradition on the Korean Peninsul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0.05
30P 미리보기
별의 시각화: 한반도 천문 전통으로서의 여말선초 별자리도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와 시각문화 / 25호 / 34 ~ 63페이지
    · 저자명 : 김소연

    초록

    대부분의 문화권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별자리 이미지는 단순히 자연물을 모방한 결과가 아니라 하늘에 대한 당대인들의 기록임과 동시에 별에 대한 집단적인 이해,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한 기호화 혹은 도상화라는 복합적인 과정의 결과이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유사한 지역적, 시대적 배경에서 제작된 별자리 이미지의 사례로 <치성광여래도(熾盛光如來圖)>, 『보천가(步天歌)』와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를 자세히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이 여말선초의 별자리 이미지들에 공통적으로 보이는 특징이 중국으로부터 들어온 최신 천문 지식이나 문헌에 대한 무지, 혹은 무관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별을 그리는 방식에 관한 지역적인 전통에서 비롯된 것임을 논의하였다. 특정 문헌이나 교리를 바탕으로 별을 이해하고 그 결과로 별자리 이미지가 그려진 것이 아니라, 별과 관 련된 한반도 지역의 회화적 관습이 별자리 이미지의 제작에 더 크게 작용했던 것이다. 더 나아가 필자는 불교 회화인 <치성광여래도>의 사례를 조금 더 살펴봄으로써 동일한 방식으로 그려진 별자리 이미지일지라도, 불교적 맥락에서는 왕실을 중심으로 한 천문 전통과는 다른 종교적 의미가 더해졌음을 살펴보았다.
    고대 동아시아에서의 ‘천문’은 오랜 시간동안 축적된 성수(星宿) 신앙, 점성, 천체 관측, 책력, 풍수지리, 기상학 등을 아우르는 개념이었다. <치성광여래도>, 『보천가』, <천상열차분야지도>를 제작하고 사용한 14-15세기 한반도 사람들도 이 서로 다른 아이디어들을 구분하여 다르게 취급하거나, 혹은 통합해서 하나의 거대 이론으로 만들고자 하지 않았다. 대신 하늘을 대하는 서로 다른 층위의 전통을 축적시켜 천문이라는 이름으로 공존하게 하였다. 불교회화를 그리는 화가와 궁정의 천문학자들이 별을 그리는 방식을 공유할 수 있었던 것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는데, 북극성 부처를 그리는 것과 별을 관측하여 기록하는 것 모두 천문 전통의 일부였던 것이다.

    영어초록

    Images illustrating asterism by using several dots and lines have appeared in almost every culture. Defining an asterism, that is, connecting dots by arbitrary lines, requires imagination and creativity. Moreover, to be approved as an “asterism,” the combination of dots and lines should be collectively accepted by members of a community. Therefore, asterism images included in visual materials deserve to be highlighted because they are not just a result of copying nature but of a complex process including recording, understanding, and symbolizing the sky and stars.
    This paper investigates a Goryeo Buddhist painting, Assembly of Tejaprabhā Buddha, the Butiange (Song of Pacing Heaven), a constellation book, circulated in Joseon Korea, and the star map Cheonsang yeolcha bunya jido (Chart of the Constellations and the Regions they Govern) produced by Joseon astronomers as cases of asterism images created within a similar regional and temporal context. By examining them, I shed light on the common feature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asterism and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brightness of a star in 14-15th-century Korea. These features often show discrepancies with earlier Chinese counterparts or texts that were not derived from ignorance or indifference to cutting-edge astronomical knowledge from China but from regional traditions of how to draw asterisms. In this sense, it seems that asterism images are not a result of understanding stars based on a certain text or doctrine. Rather, the images were heavily influenced by the local pictorial convention shared by the artists and astronomers of the time. Consequently, the deeply-rooted pictorial convention in drawing asterisms may have also influenced how to perceive asterisms.
    Additionally, through the religious icon Assembly of Tejaprabhā Buddha, this paper suggests that asterism images were given further religious significance in the Buddhist context even though they were illustrated in the same way as the asterism images in the non-Buddhist Butiange and Cheonsang yeolcha bunya jido. Overall, this study discusses cheonmun (Ch. tianwen), a notion encompassing astral worship, astrology, astronomical calculation, almanac, geomancy, meteorology, and so forth. The 14-15th-century Korean peninsula, where the Buddhist paintings, constellation books, and star maps were produced, also witnessed this broad idea exert its influence in various fields, but not as a grand theory. Under the rubric of cheonmun (J. tenmon), a long-held tradition in East Asian countries, different ideas of heaven have coexisted like accumulated layers. Both depicting Tejaprabhā Buddha and his stellar pantheon and recording celestial bodies were a part of this cheonmun trad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와 시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