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白水 楊應秀의 「四禮便覽辨疑」 연구 (A study on “Saryepyeollambyeonui” of Yang eungsu)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4.06
32P 미리보기
白水 楊應秀의 「四禮便覽辨疑」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규장각 / 44호 / 61 ~ 92페이지
    · 저자명 : 김윤정

    초록

    양응수의 「사례편람변의」는 『사례편람』의 교정과정을 자세히 보여주는 자료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재 사후 문인들은 스승의 유고인 「사례편람」을 간행하기 위해 초본을 작성하고, 부첨작업을 통해 교정을 진행하였다. 양응수는 한경양의 초본을 읽고 「사례편람변의」를 저술했는데, 형식상의 문제 뿐 아니라 이재의 예설 여부, 의리와의 상충 문제, 선유설에 대한 고증과 관련하여 적극적으로 비판을 가했다.
    「사례편람변의」에 대해 한경양, 박성원이 비판을 제기하였고, 양응수는 「再」를 통해 반박하면서 이재 문인들 간의 예설논쟁이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예설논쟁에서 양응수는 師說에 대한 일방적인 추숭이 아닌 비판적인 접근이 가능하다는 입장이었다. 그는 스승의 예설이라도 의리에 어긋날 때는 반드시 수정해야 하고, 그것이 ‘舍己從人’하는 선생의 마음을 따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박성원과 한경양은 師說이라는 근거를 강조하면서 절대로 수정할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 또한 양응수는 스승의 글이라는 근거 자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글의 문맥을 제대로 파악해야 하고 스승의 질병 이후 기록이라면 의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이재의 문인들은 스승의 예설을 통합하여 이재 예학의 定論으로서, 『사례편람』을 완성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사례편람』의 교정 과정은 의리의 모순, 기억의 충돌, 해석의 차이라는 여러 문제들에 직면하였다. 문인들은 자신들의 예설논쟁을 통해 이재 예학의 정설을 ‘만들어’가야 했고, 『사례편람』에 수록함으로써 이재의 정설로 인정받고자 하였다. 『사례편람』은 이러한 논쟁의 결과물인 만큼, 문인들의 예설을 강하게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Yang eungsoo’s “Saryepyeollambyeonui” has very important meaning because it shows the process of proofreading of Saryepyeollam. After Lee Jae's death, his pulpils prepared a Manuscript to publish Saryepyeollam which is Lee’s posthumous work. They had done proofreading through indexing work. Yang wrote “Saryepyeollambyeonui” after he read Han kyungyang’s abstract. He criticized not only formal matters but also whether Lee Jae really did a remarks or not, collision with loyalty, historical researches about theories of confusian scholar.
    As Han kyunyang and Park sungwon criticized “Saryepyeollambyeonui”, Yang eunsoo rebuted with “Again(「再」)”. A full-scale ritual debate began. As we examine this process, we can see that very heavy debate went on even in same school.
    Throughout ritual debate, Yang eunsgoo took a flexible stance about his teacher's work. If it did not coincide with loyalty, he considered it should be corrected. He thought that it's the way to fullfill his teacher’s will. While, Park sungwon and Han kyunyang did not tolerate about correction of their teacher's work. Yang eunsgoo even question about the truth about his teacher’s work. He thought that if the lecture was written after his teacher became ill, it should be read between line and be questioned. The pulpils did make a effort to establish the ritual theory of Lee Jae, and Saryepyeollam was the resul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규장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