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벼 품종과 재배기술의 적응성에 관한 고찰 (Review on Adaptability of Rice Varieties and Cultivation Technology According to Climate Change in Korea)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0.12
12P 미리보기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벼 품종과 재배기술의 적응성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작물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작물학회지 / 65권 / 4호 / 327 ~ 338페이지
    · 저자명 : 서명철, 김준환, 최경진, 이윤호, 상완규, 조현숙, 조정일, 신평, 백재경

    초록

    최근 한국의 기온은 지구 온난화로 인해 급격히 상승하고 있으며 지난 40년 동안 한국의 기온은 1980년대 초에비해 약 1.26°C 상승했습니다. 지역 별로는 강원도 서부 지역이 1.76°C로 가장 높았고 전남도가 0.96°C로 가장 낮았다. 기온이 계속 상승함에 따라 현재의 표준 재배 방법으로쌀 수확량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구 온난화로지역에서 매년 벼농사를 할 수 있는 기간이 과거에 비해 증가하여 태백시 110일에서 부산과 광양의 180일까지 지역별다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모든 지역에서 2000년 이전에 비해 이앙 시기가 3-5일 지연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쌀의 연평균 생산량은 1980년대 이후 밥쌀용 품종의 평균생산량을 분석했을 때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특히 1990년대 초반에 개발된 품종들의 생산성이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나타났다. 생육기간 평균 기온과 벼 수확량의 관계는 1996 년 전후로 크게 구분되었다. 평균 기온이 높을수록 개발 품종의 수확량은 1996년까지는 낮아졌으나 1996년 이후 평균 기온은 개발된 품종의 생산성 추세를 나타내지 않았습니다. 1999년부터 2016년까지 전국의 작물 재배 결과와 개발 품종 및 최근 개발 품종의 연간 수확량 변화를 분석하여개발 된 벼 품종의 기후 변화 적응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내 작물의 생육 현황을 조사한 결과 2000년대 초반에 개발된 조생종 태봉벼(2000)와 운광벼(2004)와 1980년대에 개발한 오대벼의 연간 생산량을 비교 한 결과 기온 상승에도불구하고 2000년대에 개발된 품종이 상대적으로 수량성이높게 나타났다. 최근 중만생종으로 개발된 삼광벼 (2003)와새누리벼(2007)의 연간 생산성은 1970년대에 개발된 추청벼와 같은 초기 개발 품종보다 높았다. 빠르고 지속적인 기온 상승에도 불구하고 벼 재배 기술과 품종 개발은 기후 변화에 잘 적응하여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벼의 생물학적 잠재력은 한계에 도달할 수있고 특히 이상기상의 빈도와 강도가 온난화와 동반하여발생하고 있어 지속적인 대응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In recent years, the temperature of Korea has been rapidly increasing due to global warming. Over the past 40 years, the temperature of Korea has risen by about 1.26°C compared to that in the early 1980s. By region, the west region of the Gangwon Province was the highest at 1.76°C and the Jeonnam Province was the lowest at 0.96°C. As the temperature continues to rise, it is expected that the rice yield will decrease in the future using the current standard cultivation method. As a result of global warming, the periods in which rice cultivation could be possible in regions each year has increased compared those to the past, showing a wide variety from 110 days in Taebaek to 180 days in Busan and Gwangyang. In addition, the transplanting time was delayed by 3-5 days in all regions. The average annual yield of rice showed an increasing trend when we analyzed the average productivities of developed varieties for cooked rice since the 1980s, especially in the early 1990s, which showed a rapid increase in productiv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verage temperature at the time of development and the rice yield was divided into the periods before and after 1996. The higher the average temperature, the lower the yield of the developed varieties until 1996.
    However, since 1996, the increase in the average temperature did not show a trend in the productivity of the developed varieties.
    The climate change adaptability of developed rice varieties was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results of growing crops nationwide from 1999 to 2016 and the change in the annual yields of developed varieties and recently developed varieties as basic data to investigate the growth status of the crops in the country. As a result of annual comparisons of the yields of Taebongbyeo (2000) and Ungwangbyeo (2004) developed in the early 2000s for Odaebyeo, which was developed in the 1980s, the annual yields were relatively higher in varieties in the 2000s despite the increase in temperature. The annual yields of Samgwangbyeo (2003) and Saenuribyeo (2007), which were recently developed as mid-late-type varieties, were higher than those of an earlier developed variety called Chucheongbyeo, which was developed in the 1970s. Despite the rapid increase in temperature, rice cultivation technology and variety development are well adapted to climate change. However, since the biological potential of rice could reach its limit,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tinuous response techn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작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