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70년대 개신교의 물질적 표상 : 차임벨과 네온 십자가 (Material Representations of Protestantism in the 1970s : Chime Bells and Neon Crosse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4.12
31P 미리보기
1970년대 개신교의 물질적 표상 : 차임벨과 네온 십자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기독교와 문화 / 22호 / 59 ~ 89페이지
    · 저자명 : 이유나, 방원일

    초록

    이 글은 1970년대 한국 개신교회의 독특한 표상인 네온 십자가와 차임벨에 주목하여 한국 사회에서 이들이 지닌 의미를 분석하는 시도이다. 1970년대는 한국 사회가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를 겪으며 전통적인 가치관과 사회 구조가 흔들리던 시기였다. 개신교회는 도시로 몰려드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공동체와 정체성을 제공하며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네온 십자가와 차임벨은 교회가 도시 환경에 적응하려는 노력의 결과물이었다. 당시 최첨단 기술이었던 네온을 사용한 붉은 빛의 십자가는 밤하늘 을 밝히며 도시 어디에서나 교회의 존재를 알리는 역할을 했다. 또한 차임벨은 예배 시간을 알리고 신도들을 교회로 불러모으는 동시에 교회의 영향력을 도시 공간으로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 네온 십자가와 차임벨은 단순한 시각적, 청각적 장치를 넘어 1970년대 한국 개신교 회의 에토스를 드러내는 상징으로 기능했다. 그러나 네온 십자가와 차임벨은 정부 규제의 예외로 존재하며 국가 권력이 함부로 규제하기 힘든 존재임을 과시했다. 빛 공해와 소음을 일으키면서도 그 잡음을 무릅쓰고 자신의 현존을 드러내는 네온 십자 가와 차임벨은 1970, 80년대 한국 사회에서 개신교회가 가졌던 영향력과 사회적 위상을 보여주는 상징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distinctive symbols of Korean Protestant churches in the 1970s—neon crosses and chime bells—and analyzes their significance within Korean society. The 1970s in South Korea was a period marked by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which destabilized traditional values and social structures. Protestant churches experienced explosive growth during this time, offering new forms of community and identity to the masses migrating to urban centers. Neon crosses and chime bells emerged as adaptations by churches to the urban environment. The red neon crosses, utilizing cutting-edge neon technology of the time, illuminated the night sky, signaling the presence of churches across the urban landscape. Meanwhile, chime bells marked worship times and summoned congregants to the church, simultaneously extending the church’s influence into urban spaces. These neon crosses and chime bells functioned not merely as visual or auditory devices but as symbols encapsulating the ethos of Korean Protestantism in the 1970s. Notably, neon crosses and chime bells operated as exceptions to governmental regulations, showcasing their resistance to state control. Despite causing light pollution and noise, their unapologetic visibility and audibility underscored the significant influence and social status of Protestant churches in 1970s and 1980s Korea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독교와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