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파상의 『벨아미』를 통해 살펴 본 거울 이미지 연구 (Une étude sur l’image du miroir dans le Bel-Ami de Maupassant)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3.11
20P 미리보기
모파상의 『벨아미』를 통해 살펴 본 거울 이미지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프랑스학논집 / 124권 / 1 ~ 20페이지
    · 저자명 : 문미영

    초록

    모파상 『벨아미』의 주인공 뒤루아를 통해 보여주는 소설의 결과에 대한 의문점을 거울 이미지를 통해 풀어보고자 한다. 파렴치한에 가까운 뒤루아의 행보는 소설의결말이 다른 권선징악적 소설과는 다르게 악인이 형통하는 결말로 끝나서 당황스럽기까지 하다. 자본주의와 부르주아의 득세에 대한 모파상의 염세적 세계관의 표현으로볼 수 있지만, 작품의 처음과 끝에 등장하는 거울의 의미를 통해 뒤루아의 출세의 최고점으로 보이는 결말을 새롭게 조명해보고자 한다.
    뒤루아의 욕망은 포레스티에와의 만남으로 촉발되며 특히 그의 집을 방문하면서응시하게 된 ‘거울’ 속에 비춰진 신사인 자기 자신의 모습을 바라봄으로써 표출된다.
    거울은 뒤루아의 무의식을 비춰주는 오브제인 동시에 그의 나르시시즘을 만족시키며분신을 양산한다. 라캉의 욕망이론에 나오는 거울 단계를 통해 살펴볼 때 포레스티에나 마담 드 마렐은 주체의 이상화된 자아와 동일시 과정을 거친, 뒤루아의 나르시스적 분신의 재현임을 알 수 있다.
    『벨아미』의 결말에서 보여주는 뒤루아의 모습은 거울 속 이상화된 자아를 구현했음에도 불구하고 채워도 채울 수 없는 욕망의 끊임없는 굴레, 혹은 완성을 향해 나아가는 변증법적 아이러니를 보여준다. 작품의 결말에 등장하는 드 마렐 부인의 거울속 영상은 뒤루아의 배금주의를 보여주는 작가의 염세적 세계관이 아니라 욕망의 변형, 죽음이 아닌 자신의 삶을 선택한 젊은이의 모습으로도 보인다.

    영어초록

    Nous aimerions utiliser l’image du miroir pour résoudre des questions sur l’issue du roman de Maupassant, qu'il présente à travers Duroy, le personnage principal de Bel-Ami. Les actions de Duroy, qui frisent l’impudeur, sont même déconcertantes car la fin du roman, contrairement à d’autres romans qui encouragent le bien et punissent le mal, se termine par la prospérité des méchants. Bien qu’on puisse y voir l’expression de la vision pessimiste du monde de Maupassant sur le capitalisme et l’hypocrisie de la bourgeoisie, nous souhaitons apporter un nouvel éclairage sur la fin, qui semble être l’apogée de la carrière de Duroy, à travers le sens du miroir qui apparaît au début et à la fin de l’œuvre.
    Le désir de Duroy est déclenché par sa rencontre avec Forestier et se révèle surtout à travers le « miroir » qu’il regarde en visitant sa maison. Le miroir est un objet qui reflète l’inconscience de Duroy et en même temps satisfait son narcissisme et crée son double. Parmi les personnages de Bel-Ami, nous examinons le désir de Duroy à travers le stade du miroir dans la théorie du désir de Lacan, en nous concentrant sur Forestier et Madame de Marel, qui expriment bien les doubles de Duroy. Ce sont des reproductions d'un alter ego narcissique qui a traversé un processus d’identification avec le moi idéalisé du sujet.
    Avant Lacan, Maupassant anticipe le stade du miroir de Lacan à travers le désir de Duroy. Il montre le monde réel où l’on regarde un miroir, découvre le soi idéalisé dans le miroir, cherche à s’identifier à lui, éprouve de l’envie et de la jalousie, acquiert l’objet du désir et désire immédiatement à nouveau un autre objet.
    Enfin, l’apparition de Duroy à la fin de Bel-Ami montre la reproduction sans fin du désir qui ne peut être satisfait, ou l’ironie dialectique de progresser vers l’achèvement, malgré l’incarnation du soi idéalisé dans le miroir. L’image de Madame de Marel dans le miroir qui apparaît à la fin de l’œuvre n’est pas une vision pessimiste du monde que l’auteur montre le mammonisme de Duroy, mais est également vue comme une transformation du désir et un jeune homme qui a plutôt choisi sa propre vie que la mo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프랑스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