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젠더와 계급 갈등 위에 교차된 인종화: <버닝>의 벤 캐릭터에 대한 재고찰 (Racialization Intersected with Race and Class Struggles: Reexamination of Ben’s Character in a Film, Burning)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3.03
37P 미리보기
젠더와 계급 갈등 위에 교차된 인종화: &lt;버닝&gt;의 벤 캐릭터에 대한 재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영화연구 / 16권 / 1호 / 215 ~ 251페이지
    · 저자명 : 이윤종

    초록

    본 논문은 이창동 감독의 2018년 영화 <버닝>의 벤 캐릭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의 새로운 ‘인종화’ 현상을 고찰한다. 영화의 안티히어로인 벤은 주인공 종수가 계급적 박탈감과 남성적 무력함을 느끼게 하는 상류층 코스모폴리탄이다.
    종수와 벤의 갈등은 남성성과 계급성의 교차적 대립이라는 측면에서 해석되는경우가 대다수로 두 남자의 심리전에서 인종적 측면을 고려한 연구는 없었다. 종수는 벤과 같은 인종, 즉 한국 남성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젠더와 계급의 교차성을 통해 성립된 벤의 우월감 위에 종수를 분노하게 하는 또 다른 축으로벤이 구현하는 인종적 측면에 주목한다. 벤은 어린 시절 영미권에서 교육받으며체화한 ‘인종화된’ 우월감을 무의식적으로 표출하는데, 이는 한국인인 벤이 서구의 백인우월주의적 코스모폴리타니즘의 세례를 받으며 서구중심적인 태도를 외면화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국인의 외피에 서구중심적, 백인중심적 사유를 착장한 벤의 예의바른 듯하면서도 타자를 비웃는 듯한 가식적인 태도와 하층민 여성에 대한 실제적, 혹은 상상적 범죄는 젠더와 계급만으로는 해석될 수 없는 인종적 차원, 즉 인종화된 한국 사회의 한 면모를 드러낸다. 이러한 한국적 인종화 현상은 영미권 국가로 조기 유학을 갔다가 돌아온 한국의 중상류층 자제들이 증가한 결과로 나타나고 있고 한국 사회의 새로운 갈등의 씨앗이자 줄기가 되었다. 본연구는 오미와 와이넌트의 ‘인종화’와 ‘인종형성’ 이론을 바탕으로 <버닝>을 한국적 인종화를 재현하는 텍스트로 읽어낼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a new phenomenon of “racialization” in South Korea by focusing on Ben’s character in a 2018 film, Burning directed by Lee Chang-dong. Ben, the anti-hero of the film, is an upper-class cosmopolitan who makes its protagonist Jong-soo feel himself diminished by his alienated class identity and concomitant powerlessness as a man. The strenuous relationship between Jong-su and Ben has frequently been interpreted in terms of the intersectional conflicts of class with gender between them but has not been examined through the lens of race. For Jong-su shares the same racial phenotype as Ben. However,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racial aspect that Ben embodies, which is another axis that infuriates Jong-su on top of Ben’s sense of superiority gained in the intersection of gender and class. Ben unconsciously expresses the “racialized” superiority that has been christened and embodied by his experience of being educated in North America, which is externalized onto his attitude, namely Westcentric, White supremacist cosmopolitanism as a Korean man. In other words, Ben’s Korean phenotype and Westcentric, Whitecentric way of thought manifest his polite yet sneering manner as well as his real or imaginary crimes against lower class Korean women, which reveals a racial dimension, or a racialized facet of South Korean society that cannot be interpreted only by gender and class. This phenomenon of Korean racialization is a result of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middle and upper class Koreans who have been returning from their childhood and adolescent education in Anglo-American countries. This study will read Burning as a film text representing the phenomenon of Koreanized racialization by drawing on Omi and Winant’s concepts of “racialization” and “race form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