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보수지식인의 전후/탈전후의식과 ‘아메리카’: 에토 준, 니시베 스스무의 아메리카니즘 비판과 보수적 주체화 (Japanese Conservatives’ Sense of Subjectivity and their Criticism of Americanism)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9.06
40P 미리보기
일본 보수지식인의 전후/탈전후의식과 ‘아메리카’: 에토 준, 니시베 스스무의 아메리카니즘 비판과 보수적 주체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정치논총 / 59권 / 2호 / 241 ~ 280페이지
    · 저자명 : 장인성

    초록

    미국은 평화헌법, 민주주의, 미일동맹의 제도를 매개로 일본의 전후체제에 관여했고, 아메리카니즘은 전후일본의 주체를 규율하였다. 전후일본의 보수적 주체들은 아메리카니즘을 받아들이면서도 미국에 규율된 전후체제의 모순에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이 글에서는 전후일본의 보수가 미국을 매개로 어떻게 주체화하는지, 보수적 주체가 아메리카니즘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보였는지를 검토한다. 아울러 탈냉전기 일본보수의 탈전후의식에 보이는 탈미국적 경향을 분석한다.
    일본의 보수주체들은 안보투쟁 이후 전후체제를 규율하는 미국의 존재를 의식했고 일본인에 내면화된 아메리카니즘을 감지하였다. 그들은 일본이 미일동맹에 안보를 의탁하면서 경제성장을 이룩하는 과정에서 아메리카니즘이 제공한 산업주의와 민주주의를 받아들였다. 그들은 반미감정을 억제하면서 아메리카니즘에 침윤된 전후체제의 허구에 민감히 반응하였고 아메리카니즘과 심리적 거리를 두었다.
    냉전종결 이후 출현한 투쟁적 보수는 전후체제를 전면 부정하게 된다. 탈냉전기 일본의 보수는 ‘미국=근대주의=좌파국가’라는 논리를 제시하면서 반아메리카니즘을 표방하고 전후일본의 자유민주주의(아메리니즘)를 부정한다. 그들은 국가의식과 애국심을 강조하면서 공동체적 국민국가의 형성을 모색한다. 일본 보수주의자들의 탈전후의식에는 탈근대주의(탈아메리카니즘) 이념과 근대국민국가(공동체국가) 구상이 깊숙이 결합되어 있다.

    영어초록

    The U.S. has been involved in Japan’s postwar regime by intervening in the making of Japanese constitution, democracy and the U.S.-Japan security alliance while Americanism controlled Japanese people after the Pacific War. Japanese conservatives have been cutely sensitive to the contradiction of the postwar regime regulated by the United States while embracing Americanism. This article looks into how Japanese conservatives have been subjectivized through the U.S. and examines how they have accepted Americanism since the end of the Pacific War. It also analyzes how they criticizes Americanism in the post-Cold War Japan.
    Japanese conservatives have been aware of the U.S. presence in the postwar regime and perceived Americanism embedded in the mind of Japanese people. They accepted American industrialism and democracy in the course of Japan's economic growth while relying on the U.S.-Japan alliance for security. They have been sensitive to the fiction of the postwar regime where Americanism deeply permeated; they have been curbing anti-American sentiment and distancing themselves from Americanism.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however, Japanese militant conservatives have begun to totally negate Japan’s postwar regime. While suggesting the logic of “the U.S.=Modernism=the Leftist state” they are exposing anti-Americanism and refusing Japan’s American liberal democracy. They are now seeking to form Japan’s communal nation-state by injecting national identity and patriotism into Japanese people. The ideas of post-modernism (de-Americanism) and modern nation-state (a community state) are combined in Japanese conservatives’ post-Postwar ment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정치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