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베틀노래 전승의 통시적 고찰 (A diachronic study on loom so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4.08
32P 미리보기
베틀노래 전승의 통시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요학 / 41권 / 2호 / 153 ~ 184페이지
    · 저자명 : 이옥희

    초록

    베틀노래는 대표적인 여성민요이다. 시대의 변화에 따른 베틀노래의 변모는 민요의 변화상을 살필 수 있는 지표이자 민중생활사를 규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베틀노래의 전승양상을 살펴보면 일노래로서의 베틀노래, 놀이노래로서의 베틀노래, 통속민요로서의 베틀노래, 향토문화자원으로서의 베틀노래로 정리된다.
    일노래로 불린 베틀노래는 현실체험의 문학적 반영이라고 할 수 있다. 베틀 각 부분의 형태와 베를 짤 때 움직이는 모습, 베를 짤 때 나는 소리 등을 민감하게 포착하여 여성들의 삶에서 경험할 수 있는 모습으로 형상화해낸 것이다.
    놀이노래로서의 베틀노래는 강강술래에서 확인된다. 베틀노래의 가사와 음곡은 앉아서 혼자 부르는 일노래에서, 뛰고 춤추며 여럿이 부르는 놀이노래로 바뀌면서 예능화의 경향을 띠게 된다. 베틀노래의 예능화는 일제강점기 이후에 통속민요 혹은 대중가요로 각색된 것에서도 찾을 수 있다. 일제강점기 이후에는 민속문화를 향유하는 집단이 민속문화행위로 향토민요를 연행하고 집단 스스로 향수하는 문화에서 벗어난다. 소리꾼집단이 가창연행 행위로 통속민요를 부르고 대중집단이 향수하거나 민중들 스스로 통속민요를 즐기는 대중문화가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향토문화자원으로서의 베틀노래는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출전 및 지역축제에서 공연되는 베틀놀이에서 확인된다. 재구성된 베틀놀이는 공연을 염두에 둔 연행물로서 만들어진 민속이라고 할 수 있다. 민속의 변질 혹은 박제화의 우려도 있지만 현대와 과거를 조우하게 하는 향토문화자원이자 민중생활사를 규명할 수 있는 사료로서의 가치를 지니며 현대사회에서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가고 있다.

    영어초록

    Loom song is a representative woman folk song. Change of loom song according to change of era is an index to make changes of folk song be known and a valuable material to explore life of the people. When reviewing remaining loom song in diachronic way, it is divided to loom song as work song, loom song as song for play, loom song as popular folk song, and loom song as local cultural resources.
    Loom song called work song is literary reflection of reality experience. Appearances that can be experienced in the life of women became image by sensitively catching shape of each part in loom, movements of loom during operation, its sound etc.
    Loom song as song for play is identified in Korean circle dance. Words and rhythm of loom song got to have tendency of entertainment as this changed from work song that one sings alone in sitting posture to song for play that several people sing running and dancing.
    After Japanese ruling period, a group to enjoy Korean traditional culture performed local folk song as folk cultural activity and was free from culture where a group itself enjoys. A singer group sang as folk cultural activity. The public enjoyed or they themselves performed popular folk song. Thus, culture of the public progressed actively.
    Loom song as local cultural resources is identified in loom song performed in regional festival and national folk arts competition. Reorganized loom play emphasized performance so that this becomes a performance displayed on stage. This has value as historical material and functions as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is making new meaning in the moder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요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