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정신으로서의 벚꽃 표상의 성립-시키시마 노래와 시원의 벚꽃- (One Japan, Sakura of the Origin: focusing on the Mountain Cherry Blossoms in the Shikishima Song)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4.08
30P 미리보기
일본정신으로서의 벚꽃 표상의 성립-시키시마 노래와 시원의 벚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문화연구 / 58호 / 151 ~ 180페이지
    · 저자명 : 배관문

    초록

    에도 시대의 모토오리 노리나가(本居宣長)가 읊은 시키시마 노래(敷島歌)는 벚꽃=일본정신=무사도라는 언설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다. 즉 이 노래에 의해 벚꽃을 일본정신의 상징으로 생각하게 되었다고 해도 좋을 만큼, 메이지 시대부터 태평양전쟁에 이르기까지 벚꽃의 의미가 정치군사적으로 변용되는 메커니즘에 노리나가가 깊이 관여되어 있다. 이 글은 근대 일본의 국책사업 진행과정 중에 대대적으로 선전되면서 온 국민에게 널리 알려지게 된 시키시마 노래를 축으로 하여, 벚꽃 표상 담론의 일면과 거기에 내포되어 있는 문제성에 대해 생각해본 것이다.
    먼저 전시 하에 시키시마 노래가 수많은 곡해에 싸여 원용된 예를 당시 국어교과서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중에서도 일명 사쿠라 독본(サクラ読本)은 벚꽃과 일본정신을 직접적으로 연결시키며 교재 전체에 벚꽃의 상징을 암시하고 있다. 원래 시키시마 노래는 아침햇살에 본연의 빛을 발하는 산벚꽃의 아름다움을 야마토 정신(大和心)에 빗대어 읊은 것이었다. 여기서 말하는 야마토 정신이 반드시 일본정신을 뜻하는 것은 아닐뿐더러, 그것이 노리나가 사상의 핵심이었다고도 할 수 없다. 하지만 이 노래의 수용 양상은 점차 변질되어간다. 특히 시키시마 노래와 벚꽃을 무사도의 문맥으로 바꿔 읽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 것은 니토베 이나조(新渡戸稲造)의 『무사도』였다. 더욱이 노리나가에게서 기원을 찾는 언설은 단순한 벚꽃 예찬이 아니라, 벚꽃 중의 벚꽃, 즉 일본의 시원의 벚꽃으로 산벚꽃을 재발견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요컨대 산벚꽃으로 집약되는 단 하나의 벚꽃다움은 곧 유일한 일본다움을 의미하게 되는 것이다.
    시키시마 노래가 잘못 이해되어왔다고 지적하는 것은 비교적 간단하나, 이 노래가 한때 산벚꽃 언설과 함께 일본 전역에 퍼져 군국주의 이데올로기로서 기능했다는 사실을 단순히 오독이라고 잘라 말하는 것은 결코 온당하다고 할 수 없다.

    영어초록

    The Shikishima song written by Motoori Norinaga, the Japanese scholar in the Edo period, is in the center of the discourse of cherry blossoms=the spirit of Japan=Bushido. To put it bluntly, it was due to this song that cherry blossoms emerged as the symbol of the spirit of Japan, and this song was behind the mechanism in which the meaning of cherry blossoms went through political-military transformation from the Meiji Era to the Pacific War period. The present article is an exploration of an aspect of the discourse of the representation of cherry blossoms and the problem implicit in it, centered on the Shikishima song which came to be known to the whole nation through the extensive propaganda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the national projects of modern Japan.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Japanese language textbooks during the war period for discussion of cases of distortion and appropriation of the Shikishima song at that time. Among them, the so-called Sakura-dokuhon links cherry blossoms directly to the spirit of Japan and is replete with the symbol of cherry blossoms throughout the book. Originally, the Shikishima song was about the beauty of cherry blossoms emitting their true light in the morning sun in comparison with the Yamato spirit. The Yamato spirit here does not necessarily mean the spirit of Japan, and nor can it be said that it was the essence of the thought of Norinaga. But the reception of the song gradually went through a change. Especially, it was Bushido by Nitobe Inazō that played a decisive role in reading the Shikishima song and cherry blossoms in the context of Bushido. Further, the discourse originated from Norinaga leads to not just admiration of cheery blossoms but the rediscovery of mountain cherry blossoms which are the cherry blossoms of the origin. In short, the single (the most simple, pure, and natural) nature of cherry blossoms which is condensed in the mountain cherry blossoms comes to mean the sole nature of Japan.
    It is comparatively easy to point out that the Shikishima song has been misunderstood, but it can never be appropriate to say definitely it is a misreading if one points out that the song had once spread to the whole nation with the discourse of mountain cherry blossoms and functioned as a militarist ide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