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天台·法華 章疏의 刊行과 流通 (The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Commentary of Lotus Sutra and Cheontae)

5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5.06
59P 미리보기
天台·法華 章疏의 刊行과 流通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지학연구 / 62호 / 5 ~ 63페이지
    · 저자명 : 남권희

    초록

    이 연구는 천태종 장소 문헌 중에서 『천태사교의』와 『묘법연화경』과 관련된 주석서를 실물조사와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다루어 본 것이다. 중국의 천태종이 이론 중심의 학파에서 실천문이 강조되는 종파로서 성립되었고 고려에서는 의천에 의하여 기반을 형성하였으며 『신편제종교장총록』이라는 장소의 목록 편찬과 이의 간행사업이 진행되면서 대장경에 이은 불교문화와 사상의 총합을 보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그 중에서 천태종의 가장 기본이 되는 소의경전으로서 『법화경』의 장소 중 현존하는 판본을 중심으로 국내외에 소장된 것을 대상으로 서지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개괄하여 보았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closely examined commentaries relevant to 『Cheontaesagyoeui』 and 『Lotus Sutra』. Cheontaejong in China transformed to practice-based to theory-based denomination and Goryeo Cheontaejong was established with supports of UiCheon. As the publication of 『Shinpyeonjaejonggyojangchongrok』 progressed, the unification of Buddhism was witnessed. This study mainly approached to currently existent editions of 『Beophwagyeong』 commentaries, one of the basic documents of Cheontaejong, outside of Korea, bibliographically.
    First, Cheontaejong led by UiCheon produced and distributed myriad documents abroad to China or Japan. However, after stagnation of Buddhism, they were mainly explored in early 13 century, which was a period of Goryeo military regime, by Yonse.
    Second, as one of the fundamental books of Cheontae, 『Cheontaesagyoeui』 written by ChaeGwan, who expanded Goryeo Cheontae to China, has reprinted edition (1089) and Gibokdogampan (1315). 『Cheontaesagyoeuijiphae』, the commentary of 『Cheontaesagyoeui』, has Gangyeongpan (1464) published in the year of King Saejo, Eulhaejapan and Eulhaejapan’s edition and the contents of each edition were mostly equivalent to their original contents with only few differences.
    Third, 『Cheontaesamdaeboobojoo』 is the commentary related to 『Beophwagyeong』 which was published in Boonsadaejangdogam in 1245 as a woodblock edition. It is very unique as it was printed in same period as the Tripitaka. The overall content is about composition of Jongui to Cheontaesamdaeboo, which consists of 『Beopwhamoongoo』, 『Beopwhahyeonui』, 『Mahajigwan』 and only a book of Vol. 1-5 is currently existent out of total 14 volumes.
    Fourth, as places of commentaries outside of Korea, there are 『Beopwhamoongoogi』 and 『Beopwhasammaechamui』 as woodblock books of China, and 『Myobeopyeongwhagyeonghyeonchan』(University of Kyoto), 『Beopwhagyeonghyeonchan』 (College of Ryukoku) 『Gwajoomyobeopyeongwhagyeong』 (College of Ryukoku), 『Beopwhamoongoobojeonggi』 (collection of Kanazawa), 『Beopwhagyeongmoongoogwa』 (collection of Kanazawa), 『Beopwhauiso』 (College of Otani) and 『Gwajoomyobeopyeongwhagyeong』(College of Buddhism) as books of Japan.
    Following commentaries of Cheontaesagyo and 『Beophwagyeong』 will perform a significant role on understanding formats and structures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Tripitaka of UiCh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