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환유로서 법해석, 은유로서 정의 (Legal Interpretation as Metonymy, Justice as Metapho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8.12
35P 미리보기
환유로서 법해석, 은유로서 정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고려법학 / 91호 / 115 ~ 149페이지
    · 저자명 : 김문정

    초록

    이 논문은 법해석의 배후에 대한 철학적 탐구로서 라캉의 정신분석학이론의 적용을 시도한다. 라캉은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에 야콥슨의 구조주의적 언어철학을 응용하여 자신의 정신분석학이론을 무의식도 하나의 언어처럼 구조화되어 있다는 명제로 압축하였다. 이 무의식에 대한 언어적 해석은 상징적 거세로 생성된 결핍이 오히려 욕망이라는 삶의 동력으로 작용하는 인간 주체에 관하여 논한 것이다. 그 해석에 활용된 은유와 환유라는 수사학 용어가 지닌 범용성 덕분에, 법학이 언어철학과 문학이론의 사유를 거쳐 정신분석학의 통찰로부터 힘입을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이성법언어를 통해 형성된 법해석의 주체는 정의를 욕망하기 시작한다. 주체는 보편적인 법과 개별사안 사이에서 의미를 지니는 정의의 충만함을 향해 욕망이 담긴 법언어들을 나열한다. 하지만 이러한 법해석만으로 정의가 실현되지 못한다. 법언어의 의미가 명확하지 않으며 정의를 담기에 부적절하기 때문이다. 오히려 법언어의 나열을 통해 그 궤적을 되돌아보고 성찰하며 이러한 법해석을 통해 정의에 도달하는 것에 회의를 품기 시작할 때야말로 법이 해체되는 순간이자 의미를 창조하는 은유의 찰나이다. 이는 법의 체계내적 또는 자기준거적인 형태의 정의 실현이 아니다. 오히려 법 외부에 준거를 두고 법에서 미끄러짐으로써 법 밖에서 법의 총체적인 모습을 보아야만 기존 법을 해체하고 미래의 법을 꿈꿀 수 있는 것이다.
    근대법의 자기성찰은 법해석을 환유로 볼 때, 다시 말해 법해석의 결과물들을 정의가 아니라 정의를 좇는 과정에서 치환된 형성물로 보고 그 형성물들을 소급적으로 의식화함으로써 이성법언어가 무엇을 억압하고 검열했는지 성찰할 때, 시적 정의의 실현까지 가능하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trying to underst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law based on the Lacanian psychoanalytical theory. Jacques Lacan summed up his theory in the proposition that the unconsciousness “is structured like a language” through re-reading the Freudian theory on the unconsciousness with Roman Jakobson’s structural linguistics. It is that the linguistic interpretation on the unconsciousness tries to point out that the deficiencies generated by means of symbolic castration paradoxically works as driving forces of life, that is, desire of the human subject. It is by virtue of the versatility of metaphor and metonymy employed on that interpretation, that law can owe the psychoanalytical insight through connections among philosophy of language, literary theory and psychoanalysis made by Jakobson and Lacan.
    The subject who interpretates the law formed through the language of rational modern law starts to desire to realize justice. The subject arrays the legal languages filled with desire to fully satisfy the justice which signify itself between universality of law and singularity of particular cases. However, the justice cannot be satisfied solely through that kind of legal interpretation due to uncertainty of legal signifier to indicate the signified and inappropriateness to bear justice. Rather by reflecting on the trajectory of the array of legal signifers appeared and becoming skeptical about the current justice which the language of rational modern law seeks to approach, the subject can deconstruct the law and receive metaphoric instant that creates sense from non-sense. This kind of justice, the deconstruction of law, is neither a inter- systemic realization of justice nor a self-referential one. Rather by sliding from the law, predicating from the outside of the law, and seeing the totality of the law which is possible only at the exteriority of the law, the subject can deconstruct the current law and wait for the advent of the suspended future law.
    It is only possible for the modern law to reflect on itself by regarding legal interpretation as metonymy. In other words, the subject should consider results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law not as outcome of justice, but as formations displaced on the process of seeking justice, like formations of the unconsciousness generated by repression of the consciousness, and contemplate on what the language of the rational modern law has repressed and censored, through conscientization those formations retroactively which can be lead to realization of the poetic just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려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