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숙인복지법 비교에 관한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f Homelessness Ac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8.02
30P 미리보기
노숙인복지법 비교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 수록지 정보 : 법이론실무연구 / 6권 / 1호 / 339 ~ 368페이지
    · 저자명 : 홍세영

    초록

    IMF 이후 한국의 노숙인은 양적 질적으로 증가하면서 2012년『노숙인등복지및자립지원에관한법률』을 제정하였다. 이 법은 기존의 부랑아와 노숙인을 일원화 하여 전달체계를 통합하였으며, 노숙인 시설을 기능상태별로 분류하여 좀 더 서비스를 전문화하고 체계화하였다. 그러나 아직 시작단계에 불과하기 때문에 다른 국가들의 법적 체계를 통해 제도의 성격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국과 핀란드처럼 노숙인 전달체계가 잘 정비되어 있는 선진화된 국가의 법적 체계를 통해 그 시사점을 모색해보자 한다. 비교 기준은 노숙인 서비스 전달체계 모형인 계단식 모델(Staircase mode)l과 주거우선모델(Housing First model)이 이다.
    영국은 2017년 노숙인 감소법을 제정하였다. 성격은 계단식 모델과 주거우선모델 사이에 있었다. 핀란드는 주거우선모델(Housing First mode)l로 사회복지법에 근거하고 있으며, 우선 노숙인들에게 독립된 주거공간을 제공한 다음 다양한 욕구를 지역사회에서 지원하고 있었다. 법적 체계를 통해 살펴볼 때 계단식 모델은 한국에 가깝고, 주거우선 모델은 핀란드, 그 중간은 영국이었다. 많은 국가들에서는 이 두 전달 체계 모델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 추세는 계단식모델(Staircase model)에서 주거우선모델(Housing First model)로 전환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계단식모델(Staircase model)에 가깝다고 볼 수 있지만 아직 시작단계에 불과하다. 또한 한국이은 주거우선모델(Housing Model)이 한국의 현실에 적합하지 않다. 한국이 좀 더 효율적인 전달체계를 갖추기 위해서는 이 두 모델을 결합한 것으로 즉 시설을 독립된 주거공간으로 확보한 다음 노숙인의 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고 본다.

    영어초록

    After IMF, the number of the homeless have been increasing, so Act of Homeless is established in Korea in 2012. Due to this Act, dual system which is separated vagabond from homeless transferred the unification of delivery system. And shelters for homeless are divided according to homeless `s function.
    Homeless delelvery system is more specialize and more systemize. However, this system is uncertain about de-homeless because this has short term history. So our study search for foreign cases analysis about Homeless delivery system especially England and Finland. Globally there are two model for homeless delivery system.


    One is Staircase Model the other is Housing First. In Staircase model, homeless service users demonstrate their ability to move from one level of accommodation to another, either as part of the rehabilitation process or by acting in accordance with the targets that have been jointly laid down. It is based on legislation and the end goal is independent living. This model are advanced in England.
    Housing First model is simple: provide permanent housing first, and then combine that housing with supportive treatment services in the areas of mental and physical health, substance abuse, education, and employment. Finland is famous for Housing First.


    The tendency of global moves staircase mode to housing first. Korea is similar to England but it is still in its beginning stages. Housing First model doesn`t match with Korea situ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이론실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