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교법적 관점에서 도시계획의 발전과 지방자치단체의 계획권의 이해- 미국법을 중심으로 - (Urban planning and planning rights of local govern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nglo-American legal system and comparative law)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1.08
30P 미리보기
비교법적 관점에서 도시계획의 발전과 지방자치단체의 계획권의 이해- 미국법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토지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토지공법연구 / 95권 / 95 ~ 124페이지
    · 저자명 : 김성배

    초록

    도시계획의 개념은 도시별 환경과 각국의 사회적 배경, 도시의 발전단계 또는 체제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도시계획을 어떻게 정의하든 도시계획은 종국적으로 헌법에서 보장하는 사유재산인 토지의 이용을 제한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규범학인 법학에서 도시계획은 행정계획의 일종이므로, 일반적인 행정계획이 가지고 있는 공통점과 한계를 동시에 가지고 있을 수밖에 없다. 도시계획은 현행법상 엄밀한 의미의 법률개념은 아니지만 대체로 도시계획이란 용어는 국토계획법상 도시·군계획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국토계획법 제5조는 광역단체인 “시”(제주도포함)와 기초자치단체인 “시”에서 수립되는 공간계획인 “시계획”만을 “도시계획”이라고 칭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지칭은 “시가지계획”을 최초의 근대적 도시계획의 시작으로 연결하는 오해와 그 기반을 같이 할 수 있어서 찬성하기 어렵다. 우리나라에서 최초의 서구식 도시계획은 1890년 후반 대한제국시대 광무개혁의 일환으로 한 한성부 도시개조사업에서 그 근원을 찾아야 할 것이다. 현행법상 도시계획은 엄밀한 의미에서 법정용어도 아니므로 도시계획을 공간등의 계획이라는 광의의 의미로 파악하고 주요 관련 법률의 변천과 그 내용을 살펴보고 지방자치단체의 계획권의 실제를 파악하여야 한다.
    미국과 유럽의 도시계획은 우리나라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미국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권한은 단순히 주헌법이나 주법률 혹은 자치헌장에서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연방 헌법상의 권리보장과 연결되어 그 한계가 설정된다. 미국의 지방자치단체가 행사하는 지역지구제(zoning)의 설정의 법적 근거는 주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가지고 있는 광의의 경찰권(police power)에 의존하고 있다. 미국에서 주법률과 주헌법이 지방자치단체의 계획권한을 인정하고 정당화하는 근거는 주가 보유하고 있는 경찰권을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주의 계획법제는 소관 지방자치단체가 계획을 수립하면서 기준이 되는 최소한의 기준을 설정하고 계획수립을 강제하고 있다. 미국에서 도시계획은 우리와 달리 민간영역에서 먼저 출발하였고 기초지방자치단체에서 경찰권을 근거로 구체적인 도시계획을 채택하고 관련 조례를 마련하도록 한 것에서 출발하지만 주정부의 계획관련 법률은 상위법률로서 언제나 지방자치단체를 구속하게 된다.
    미국에서 도시계획은 기초자치단체수준의 계획이지만 미국의 지방자치단체는 주의 피조물이므로 주법의 통제틀안에서 마련되며, 주정부나 기초자치단체가 행사하는 계획권한도 주헌법과 연방헌법이 보장하는 개인의 기본권을 침해할 수는 없다. 미국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토지이용규제인 지역지구제는 경찰권행사로 이해하고 있으며 도시계획도 경찰권의 행사로 이해하여 토지수용과 달리 보상없이 진행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주정부의 계획관련법제는 주로 지방자치단체가 수립해야 하는 의무계획의 종류와 고려요소들을 나열하고 있으며 연방정부나 주정부는 주로 보조금의 지급 등 재정권한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도시계획에 영향력을 간접적으로 행사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concept of urban planning can appear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the social background of each country and the development stage or system of the city. No matter how urban planning is defined, urban planning ultimately exhibits the characteristics of restricting the use of land, the private property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In legal perspective, urban planning is one of administrative planning, so it inevitably has the commonalities and limitations of general administrative planning. Urban planning is not a legal concept in the strict sense under the current law, but the term urban planning is generally used to mean the urban planning in the National Land Planning Act. However, in Article 5 of the National Land Planning Act, only “city plans”, which are spatial plans established by “city” (including Jeju-do) and local governments, “city” are called “urban plans”. This designation is difficult to agree with as it can share the basis of the misunderstanding that connects “city planning” to the beginning of the first modern urban planning. The first Western-style urban planning in Korea should find its origin in the Hanseong-bu urban remodeling project as part of the Gwangmu Reform in the late 1890s during the Korean Empire. Under the current law, urban planning is not a legal term in the strict sense, so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urban planning in the broad sense of planning for spaces, etc. . Urban planning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has had more of an impact than any other country has in the United States or Europe. In the United States, the powers of local governments are not limited only by state constitutions, state laws, or self-governing charters, but their limits are set in connection with the guarantee of rights under the federal constitution. The legal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zoning exercised by local governments in the United States depends on the broad police power of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In the United States, state laws and state constitutions recognize and justify the planning authority of local governments based on the state's police power, but in general, state planning legislation is the minimum standard that local governments have when making plans. It sets the standards of Unlike Korea, urban planning in the United States started first in the private sector, and the basic local government adopted specific urban planning based on the police power and prepared related ordinances. bind the group. In the United States, urban planning is a plan at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s, but local governments in the United States are created within the control framework of state laws, and the planning authority exercised by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s is also limited to individuals guaranteed by state and federal constitutions. fundamental rights cannot be violated. The regional zoning system, which is the most commonly used land use regulation in the United States, is understood as an exercise of police authority, and urban planning is also understood as an exercise of police authority, and unlike land expropriation, it is understood that it proceeds without compensation. The provincial planning laws mainly list the types of mandatory plans that local governments must establish and factors to consid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토지공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