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배타적경제수역의 법적 지위와 국내적 수용 -한중일의 관련 국내법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The Legal Status of the EEZ and Relevant State Practice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Relevant Laws of Korea, China and Japa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09.07
33P 미리보기
배타적경제수역의 법적 지위와 국내적 수용 -한중일의 관련 국내법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해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해사법연구 / 21권 / 2호 / 251 ~ 283페이지
    · 저자명 : 이창위

    초록

    제3차 유엔해양법회의에서 가장 논란이 된 이슈의 하나는 배타적경제수역의 법적 지위에 대한 대립, 즉,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배타적경제수역은 영해적 성격을 가져야 한다고 한 영해파 내지 영해주의파(territorialist), 공해적 성격을 강조한 공해파 내지 우선적 권리파(preferentialist), 그리고 영해도 아니고 공해도 아닌 독자적 성격의 수역이라는 고유수역파(zonist)의 대립이었다.
    유엔해양법협약은 배타적경제수역의 법적 지위를 명확히 하지 않고, 이는 협약의 관련 규정에 의해 규율되는 특별한 제도에 따르는 제도라는 내용의 규정을 두었다. 즉, 배타적경제수역이 영해나 공해가 아닌 제3의 특별한 수역이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유엔해양법협약의 관련 규정에 대한 해석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선진해양국들은 배타적경제수역의 공해적 성격을 강조하여 영역화의 가능성을 차단하려고 한 반면, 배타적경제수역 제도의 도입을 주장한 개도국들은 반대의 입장을 취했다. 유엔해양법회의에서 배타적경제수역의 제도화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을 때 일본과 중국은 대표적 해양선진국과 연안개도국으로서 동 제도에 대한 찬반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한국은 입장을 명확히 하지 않았다.
    1996년과 1998년 한중일 삼국은 배타적경제수역을 국내적으로 도입했다. 배타적경제수역 제도가 출범하고 10여 년이 지난 현재, 동북아에서 동 제도의 운용은 해양경계획정, 해양환경보호, 자원관리, 군사활동 등과 관련하여 전환점에 서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러한 입장에서, 배타적경제수역에 대한 한중일 삼국의 태도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동 제도의 법적 지위 내지 성격과 효율적인 운용 문제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영어초록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during the early stages of UNCLOSⅢ was to determine the exact legal status of the EEZ. The first view envisaged the zone as an extension of the territorial sea, where the coastal State would enjoy sovereignty with certain exceptions(territorialist). The second view considered the zone to have high seas status with certain modifications, which allow the coastal States preferential and specific rights over the resources and jurisdiction relating to such matters as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scientific research(preferentialist). The third and majority view held that the EEZ was a sui generis zone, with its own legal regime which did not fit in the traditional dualistic concept of the sea(zonist). The first view was presented by several Latin American States. The second view reflected the concern of Maritime States regarding the high seas freedoms in the EEZ.
    The 1982 LOSC did not clarify the legal nature of the EEZ, but stipulated broad jurisdiction and sovereign rights over resources and other matters of coastal States as well as certain freedoms and duties of other States in the EEZ. Considering the general trend in the UNCLOS Ⅲ and the relative articles of the 1982 CLOS, it might as well be resonable to regard the EEZ as a separate functional zone of a sui generis character, situated between the territorial sea and the high seas. Of course,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an agreement on the issue was reached by accumulation of the relevant state practices.
    Korea, Japan and China established the EEZ regime in the late 1990s. But they did not agree on the final maritime delimitation. Instead, they concluded three bilateral fisheries agreements establishing several intermediate/provisional zones in the overlapping EEZ. Many agreements have yet to be reached on maritime boundaries relating the EEZ among the coastal States in the region. The coastal States should manage and control the EEZ regime under those circumstances.
    Taking into above mentioned issues, I attempted to provide interpretations on the relevant articles of the 1982 LOSC as well as EEZ related State practices in the North East Asian reg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