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高麗中期 法相宗 사원의 불교조각 (Buddhist Sculptures at Monasteries of Beobsang School of Buddhism in mid Goryeo Period)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18.12
46P 미리보기
高麗中期 法相宗 사원의 불교조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중앙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미술자료 / 94호 / 14 ~ 59페이지
    · 저자명 : 최성은

    초록

    고려중기에 융성했던 법상종의 주요 사찰로는 현종이 창건한 현화사를 비롯해서 삼천사, 법천사, 금산사 등을 꼽을 수 있으며, 현화사 칠층석탑이나 법천사 지광국사탑, 금산사 석조연화대좌에서 보이는 화려하고 귀족적인 조형성은 당시 법상종 불교미술의 높은 수준과 성격을 말해준다. 비문에 기록된 현화사의 면모는 ‘도솔천궁’에 비유될 정도로 장엄하였으며, 금산사는 章疏를 간행하는 광교원구를 비롯해서 봉천원구가 고려중기에 신축되었다.
    오늘날 전해오는 이들 사찰의 불교조각 작품은 영세하고 단편적인 자료에 불과하나, 문헌기록과 새로 출토된 비문자료, 현존 유물들을 통해서 고려중기 법상종에서 미륵과 아미타를 모시고 교학에 중점을 둔 태현계 법상종의 전통이 강하게 이어져 내려오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나말여초 후삼국기를 거쳐 고려초기에 이르는 시기에 유행하였던 거대 미륵의 표현이 흔히 법상종과 관련있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으나, 적어도 고려중기의 법상종 사찰과는 연관지을 개연성이 없다는 판단이 서게 되었다. 또한 당시 여러 법상종 사찰에서 설행되었던 아미타불회와 미륵회 등은 설법인을 결한 아미타불상과 통형의 보관을 쓰고 가사형태의 착의형식을 한 미륵보살의 도상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데 적지 않은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고려중기 법상종 사찰의 석조미술에서 나타나는 우아하고 귀족적인 양식이 법상종 사원 미술의 특징이라고 볼 수는 없겠으나 왕실의 전폭적인 후원으로 융성하였던 법상종 사찰이 당시 佛事의 주요 무대가 되었던 것은 분명하다. 아울러 고려초기 불교미술에서 볼 수 없던 우아한 북송풍의 귀족적인 요소는 현종의 측근에 머물던 채충순, 주저와 같은 오대, 북송 귀화인들의 활동과 함께, 고려의 적극적인 對宋 불교문화 교류의 결과로 나타났던 것으로 이해되며, 여기에 더하여 현종대 이래 부상한 신라 舊귀족 세력의 세련되고 귀족적인 취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아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Buddhist sculptures of mid-Goryeo period at four Beobsang School(法 相宗) monasteries – Hyeonhwasa(玄化寺), Samcheonsa(三川寺), Beobcheonsa(法泉寺) and Keumsansa(金山寺). Beobsang School of Buddhism flourished in the 11th century under the royal support, especially of King Hyeonjong(r.1009∼1031), who became a monk at a temple of Beopsang School before ascending the throne. King Hyeonjong constructed Hyeonhwasa in 1018 in Gaeseong, the capital of Goryeo, for the good karma of his past parents.
    Reliefs on the surfaces of the seven storied stone pagoda at Hyeonhwasa show high quality craftsmanship and aristocratic delicacy characteristic of mid Goryeo Buddhist art. Text engraved on the stele of Hyeonhwasa describe its sumptuous buildings and decorations, which can be compared to those of Maitreya’ palace on Tushita Heaven. The three other temples have monumental artifacts, including the delicately carved Rock-cut standing Buddha image at Samcheonsa, the exquisite Sarira Pagoda of Reverend Priest Jiguang(智光國師, 984∼1070) at Beobcheonsa, and the decorative Stone Lotus Pedestal at Keumsansa.
    Extant images and materials of Beobsang School demonstrate that the Taehyun line of the Unified Silla period was strongly succeeded by the Beobsang School in the 11thcentury. While the large Maitreya images of the late Unified Silla and early G oryeo period had been regarded as symbolic icons of Beobsang School, they have little to do with Beobsang School of the 11th century.
    Whereas, the iconography of Maireya Bodhisattva wearing a high cylindrical crown and a Kasaya robe like a Buddha image seems to have become very popular due to the spread of annual rituals of Maitreya of Beobsang School.
    Elegance and grace shown in the pagodas and images at the four Beobsang monasteries are not necessarily stylistic features and traits of Buddhist art of Beobsang School. Rather, they are the general trend of Buddhist art in the 11th century, most likely influenced by Buddhist art of the Five Dynasties and Northern Song, as well as the court art of Unified Silla, since a number of government officials among King Hyeonjong' close advisors were naturalized Chinese and King Hyeonjong’s father was the only descendant of the Unifed Silla royal family from his mother sid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자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