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애인 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법적 연구 -장애인체육진흥의 법적 근거 마련을 중심으로- (Legal Study about the promotion sports for the disabled -Focusing on establishing a legal basis for the promotion of sports for the disabled-)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4.08
28P 미리보기
장애인 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법적 연구 -장애인체육진흥의 법적 근거 마련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 27권 / 3호 / 23 ~ 50페이지
    · 저자명 : 남기연, 박정인

    초록

    21대 국회에서 2021년 12월 16일 발의된 장애인체육지원법안(도종환의원등 18인 발의 의안번호 2113921호)와 2021년 12월 10일 발의된 장애인체육진흥법안(이종성의원 등 10인, 의안번호 2113842호)는 21대 국회 임기만료로 폐기되었다. 무엇보다 장애인에게 체육활동은 신체적, 심리적 건강을 증진 시킬 뿐만 아니라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하는 사회통합 기능도 가지고 있는 등 장애인의 삶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처럼 장애인체육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음에도 비장애인 체육에 비해 지원은 여전히 열악하고, 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는 시설 역시 부족하다. 더군다나 장애인체육의 법적 근거가 현재로서는 「국민체육진흥법」에 선언적 규정에 불과하여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이 상당히 저조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문제의 제기로 장애인체육의 일관적이고 체계적 추진을 어렵게 하는 장애인체육기본계획의 부재, 장애인스포츠시설이용의 한계, 장애인스포츠용품의 안전성 문제, 장애인스포츠지도자 활용의 문제를 살펴본다.
    다음으로 각국의 법령현황에서 패럴림픽에서 좋은 점수를 내고 있는 국가 미국을 비롯하여 포용정책의 독일, 일본, 북유럽국가, 중국, 프랑스와 영국을 검토한다.
    장애인체육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보완 등을 통해 장애인과 비장애인간의 통합을 위해서 법적 근거가 마련되기를 바라며 「국민체육진흥법」개정이든 장애인체육의 별도 입법이든 22대 국회에서 재논의를 기대하며 우리사회가 한단계 더 통합사회로 나가길 기대한다.

    영어초록

    In the 21st National Assembly, the Sports Support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ct (bill number 2113921, proposed by 18 members, including Rep. Do Jong-hwan) and the Sports Promotion Act for the Disabled, proposed on December 10, 2021 (bill number 2113921, proposed by 10 representatives, including Rep. Jong-seong Lee) No. 2113842) was abolished with the expiration of the term of the 21st National Assembly. Above all,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physical activity not only improves their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but also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overall liv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s it has the function of social integration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Although the importance of sports for the disabled is increasing, support for sports for the non-disabled is still poor, and facilities available to the disabled are also lacking. Furthermore, the legal basis for sports for the disabled is currently only a declarative provision in the National Sports Promotion Act, so the participation rate in sports for the disabled is bound to be quite low.
    Accordingly,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absence of a basic plan for sports for the disable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onsistently and systematically promote sports for the disabled, limitations in the use of sports facilities for the disabled, safety issues with sports equipment for the disabled, and the use of sports instructors for the disabled.
    Next, we review the status of each country's laws and regulation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 country that is scoring well in the Paralympic Games, as well as Germany, Japan, Nordic countries, China, France, and the United Kingdom with inclusive policies.
    We hope that a legal basis will be established for the integr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people through continuous and systematic supplementation of sports for the disabled, and we look forward to re-discussions in the 22nd National Assembly, whether it is revision of the National Sports Promotion Act or separate legislation on sports for the disabled, and we hope that our society will take a step forward. I look forward to moving towards a more integrated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