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회사소송의 재량기각 제도의 법적 제문제 - 비교법과 판례분석에 기초한 입법론 - (Corporate Lawsuit and Court’s Discretionary Dismissal)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0 최종저작일 2020.09
51P 미리보기
회사소송의 재량기각 제도의 법적 제문제 - 비교법과 판례분석에 기초한 입법론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사판례학회
    · 수록지 정보 : 상사판례연구 / 33권 / 3호 / 247 ~ 297페이지
    · 저자명 : 최문희

    초록

    재량기각은 원고의 청구가 이유가 있는 경우에도 법원이 제반사정에 비추어 기각하는 것이므로, 원고의 구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재량기각을 어느 유형의 소에 인정할지, 재량기각을 어떠한 사유에 인정할 지는 한편으로는 소의 청구원인인 하자에 의해 이해관계자가 입은 불이익과 다른 한편으로는 주주총회 결의, 합병 등 조직재편, 자본금감소, 신주발행 등 이미 형성된 법률관계의 안정이라는 이익을 형량하여 신중하게 결정하여야 할 것이다.
    이 글은 재량기각이 필연적으로 상충하는 이익을 조정하는 제도라는 점을 고려할 때, 재량기각에 관한 상법 규정과 판결례의 몇 가지 쟁점을 소재로 문제를 제기하고 입법론을 제시하였다. II.1.에서는 재량기각이 인정되는 소의 유형과 주주총회결의 취소의 소에서 하자사유별 재량기각의 인정여부를 검토하였다. 하자의 소 중 결의취소의 소에만 재량기각이 명시되어 있는데, 무효확인의 소 및 부존재확인의 소(제380조)에 대해서는 재량기각이 인정되지 않는지, 해석론으로도 인정되지 않는다면 합병무효의 소 등 조직재편행위에도 인정되는 것과 비교할 때 체계적이지 않다는 점을 밝히었다. 둘째, II.2.에서는 재량기각의 요건으로서 ‘하자의 보완’요건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상법 제379조와 달리 제189조에는 ‘심리 중에 원인이 된 하자가 보완될 것’이라는 문구가 규정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이 요건이 결의취소의 소와 기타의 소에서 다르게 운용되지 않는다는 점, ‘하자의 보완’의 요건에 관한 규정의 개선사항을 지적하였다. 셋째, 법문상 ‘제반사정’을 고려하여 재량기각을 할 수 있다고 명시하므로, 법원은 어떠한 판단기준에 의해야 하는지 명확하지 않고 재량기각의 인정여부가 불확실하다는 문제가 있다. 주주총회결의 취소의 소는 주주의 적법한 주주권 행사라는 개별적 이익보호와 주주총회에서의 소수주주의 견제기능을 담보하는 기능을 하는 제도인데, 우리나라 판례는 회사의 이익이나 거래안전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본문에서 재량기각의 판단기준으로 단계적 판단의 순서를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law and reality of corporate lawsuits and so called “Court’s discretionary dismissal” in comparison with Japanese law. The Korean Commercial Code(hereinafter “KCC”) has a unique and potentially powerful weapon against corporate lawsuits. Under the KCC, the court can dismiss the plaintiff’s claim, if it finds rescission or voidness to be inappropriate, considering “the content of resoluton, the current status of the firm and other relevant factors”(Art.189 and Art.379 KCC). This paper examines a few issues raised by these provisions, and proceeds as follows.
    First, this paper explores the scope of the discretionary dismissal. The provisions of it apply only to a rescission lawsuit based on a procedural defect and corporate restructuring or fundamental changes in a corporation such as reduction of legal capital, new issuance of shares, merger and divisions. Discretionary dismissal applies to neither nullity lawsuit nor non-existence lawsuit. This paper does not find the approach of the KCC balanced in treating these two corporate lawsuits on the validity of shareholder resolution.
    Second, this paper discuss the requirement of the discretionary dismissal. The provision on discretionary dismissal was modelled after the Japanese Commercial Code of 1938(Art.251). Although the current Japanese Corporate Act(hereinafter “JCA”) still maintains a provision on discretionary dismissal(Art. 831 para.2), it is different in substance from the KCC. The JCA allows the court to grant discretionary dismissal when two requirement are satisfied: (1) materiality of a procedural defect and (2)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nd the resolution involved. In contrast, the requirements under the KCC are less strict. Even if there is a material defect which affected the resolution, the court can still rescission or voidness inappropriate and dismiss the suit based on “the content of resolution, the current status of the firm and other relevant factors.” This paper criticizes the permissive attitude of Korean courts toward discretionary dismissal, and concludes with a few remarks about revision of rule of discretionary dismiss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