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를 위한 행정법적 쟁점 ― 미국의 이론과 법제도를 중심으로 ― (Administrative Legal Issues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 Focusing on the Theory and Legislation of the United States —)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9.05
21P 미리보기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를 위한 행정법적 쟁점 ― 미국의 이론과 법제도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행정법이론실무학회
    · 수록지 정보 : 행정법연구 / 57호 / 71 ~ 91페이지
    · 저자명 : 김은주

    초록

    오늘날 자동차산업은 급속한 기술적 발전을 이루고 있다. 자율주행자동차의 시험운행이 진행되고 있는 한편 GPS 등 정보통신기기를 통해 제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운행경로를 설정할 수 있는 자동차는 이미 대중화되었다. 자율주행자동차는 사람인 운전자가 야기할 수 있는 부주의, 졸음으로 인한 사고, 과속운전이나 부적절한 끼어들기로 인한 사고 등의 위험을 제거하고 예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정확하게 운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도로상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고 예측된다. 또한 그동안 자동차의 운전이 불가능했던 사람들이 자율주행자동차를 통해 홀로 이동이 가능하다는 점, 자율주행기능을 통해 다수인의 공동이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적, 환경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점 등 다양한 유용성을 가진다. 그러나 자율주행자동차가 상용화되어 사람인 운전자의 조작으로 운행되는 자동차와 동일한 도로 위를 동시에 주행하게 되는 경우 비상상황에서의 안전성에 대하여는 아직 확신할 수 없다. 또한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에는 인접 자동차들과의 정보교류가 필수적이라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자율주행자동차로부터 발생되는 수많은 정보자료들의 이용과 관련하여 프라이버시의 보호문제도 야기될 수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인식 하에서 미국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에 대비하여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규범적 내용을 살펴보고 현재의 우리 법제도 하에서 이러한 내용들이 어떻게 반영되어야 할 것인지를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자율주행자동차의 안전을 위한 규제적 측면에서 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한 규제권한의 문제가 제기된다. 미국의 경우 자동차의 설계 및 작동에 관한 규제권한은 연방정부가 가지는 반면 운전면허와 도로에서의 차량운행에 대한 규제권한은 주정부가 가진다. 그런데 자율주행자동차는 차량의 설계에 운행시스템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양자의 통합적 규제가 요구된다는 점에서 새로운 규제시스템 필요하다. 우리 법제 역시 차량의 안전성에 대한 규제와 운전자에 대한 면허제도가 별개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제 여기에 자율주행시스템에 대한 규제를 통합하여야 한다. 또한 자율주행자동차의 안전기준은 실행가능하고 자동차 안전에 필수적이며 객관적 용어로 규정되어야 하는데 이는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의 제조자에 대해 안전성을 달성할 수 있는 특정한 방법을 요구하는 기술기준이 아니라 달성해야 하는 안전성을 요구하는 성과기준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정보의 수집 및 이용과 관련하여 프라이버시권에 대한 침해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으며 이는 (1) 정부가 개인정보에 접근하고 이를 이용하는 문제와 (2) 개인정보를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문제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미의회는 자율주행자동차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법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아직 구체적인 법제적 틀은 마련되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까지 「자동차관리법」을 중심으로 자율주행자동차의 시험운행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범위에서 규율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제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에 대비하여 도로 위에서의 운행을 위한 전반적인 규율의 틀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의회와 정부로서는 지속적인 연구와 함께 자동차 업계, 소비자, 학계와의 협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될 것이다. 우리 사회가 자율주행자동차의 유용성을 온전히 활용하기 위하여는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실용적인 안전기준의 마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안전기준은 정부의 규제 기준이 됨과 동시에 자동차 업계가 이루어야 할 기술개발의 방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oday, automotive industry is evolving rapidly on technological innovation. Trials for autonomous vehicles are underway and vehicles equipped with GPS have already become popular. Automated driving is expected to improve road safety by eliminating human driver error(inattention, sleepiness, overspeed or improper intervention) and operating correctly according to the program. Additionally, autonomous vehicle technology could allow people currently unable to drive(such as the elderly,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to travel alone in autonomous vehicles. Driverless cars also reduces the overall number of cars on the road, as well as unnecessary overlapping trips that contribute to emissions.
    However, no one can assure the safety of roads when both ‘autonomous vehicles’ and ‘automobiles operated by human drivers’ run on the same road. Furthermore, data privacy is significant areas of concern arising from autonomous vehicles. These apprehensions stem from the knowledge that self-driving vehicles will rely on some combination of Internet-based communication systems to operate the vehicles without the control of a human driver.
    This paper examines the normative contents required for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focusing on the theory and legal system in the United States. First, there is a problem of regulatory authority for autonomous vehicles. In the United States, the federal government has the authority to regulate the design and operation of vehicles, while states create traffic codes that set standards for vehicle operation and the licensure of drivers to regulate vehicle safety. However, it is required a new regulatory system to treat autonomous vehicle because the design and the operating system of the vehicle are integrated together. We also need to consider integrated regulations on autonomous vehicles. Secondly, the standards for autonomous vehicles are required to be practicable, objective, and meet the need for safety. It must be performance-oriented. Lastly, There is a question of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privacy in relation to the collection and use of information. This can be divided into (1) the government's access to and us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2)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for commercial purposes. Presently, the United States has no specific legislation on this question.
    In Korea, the autonomous vehicle regulation has been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of supporting the test operation of autonomous vehicles based on the “Automobile Management Act”. However, in order to regulate commercialized autonomous vehicles, an overall regulatory framework for the operation of such vehicles on the road should be established. In this process, Congress and the government should conduct intensive and comprehensive research on autonomous vehicles. In addition, cooperation with the automobile industry, consumers, and academia should be made. In order to fully enjoy the benefits of autonomous vehicle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objective and practical safety standards to ensure their safety. These safety standards can provid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that the automotive industry has to achie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