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환기의 조선초기 상속법 (The Transformation of the early chosun dynasty's inheritance law)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8.09
43P 미리보기
전환기의 조선초기 상속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42권 / 3호 / 317 ~ 359페이지
    · 저자명 : 한복룡

    초록

    조선초 재산상속에서 일어난 가장 큰 변화 중의 하나는 妻와 딸의 지위의변화이다. 妻의 지위는 嫡庶與否와 良賤의 신분에 따라 세분되고 다양화된다.
    儒敎的 宗法制가 강조되기 시작하면서 財産相續爭訟에서 妻의 지위가 약해지고 이어서 딸의 상속권이 약화된다. 妻의 財産權 약화에 이어 財産相續에서嫡妻의 딸이 良妾의 아들에 밀려나게 되며 私田 보다는 功臣田 상속에서 딸의배제가 먼저 일어나고 있다. 또한 아들의 상속분도 어머니의 지위와 신분에따라 정해지기 시작한다. 재산상속에서 여성들은 신분과 딸이라는 성별에 의해 차등화 되기 시작하고 다시 어머니가 되면 아들의 유무에 따라 차등화 된다. 자녀들도 어머니의 嫡庶與否와 신분에 따라 차등화 되는데, 특히 아들에게어머니의 嫡庶與否와 신분은 대단히 중요하다. 즉 身分制度와 儒敎的 宗法制 가 서로 맞물리게 되면서 재산상속에서 妻의 지위가 약화되고 子孫 특히 아들의 권한이 강화되면서 그 아들의 어머니의 법적 지위가 강화되기 시작한다.
    高麗末부터 朝鮮初를 거치면서 兩班中心의 身分制度와 宗法制 및 朱子學의 영향으로 嫡室子女와 承重子는 재산에 割增이 많은 반면, 良妾子女나 賤妾子女는 열등한 대우를 받게 되었다. 남계중심의 가족형태로 바뀜에 따라 재산상속에 있어서 여성의 지위가 서서히 약화되고, 제사⋅재산상속에 있어서 長子를중시하는 경향이 많아진 것은 당연한 일이다. 표면적으로는 균분이지만 점차장자⋅장손을 우대하면서 딸에 대한 차별의식도 생겨나기 시작하였으며 妻의재산상속상의 지위도 점점 약화되고 있다. 이들은 모두 조선시대에 들어오면서 유교적 宗法制와 男系中心的 嫁娶制가 정책적으로 장려되는 과정에서 혼속의 변화에 앞서 생긴 변화이다. 이러한 변화는 壻留婦家婚俗에서 嫁娶制로 갑자기 혼속을 변화시키는 것이 어려우므로 왕실에서 먼저 親迎을 실시하고 그대신에 服喪制를 먼저 개혁하는 방법을 택한 것과 맥이 통한다. 결국 朝鮮初의 이러한 변화는 朝鮮 고유의 壻留婦家婚俗과 男女均分相續 그리고 중국의儒敎的 宗法制와 嫁娶制 및 身分社會의 조화라는 큰 틀에서 이해해야 하고 祖宗成憲尊重의 정신 아래 왕과 신하들 사이의 신중한 토론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변화임을 주목해야 한다.

    영어초록

    One of the striking characteristics of the inheritance in the early Chosun periodwas that the offsprings could have equally received parents’ fortunes regardless ofsexual discrimination since the late Korea Dynasty. The tendency of the inheritancein the early Chosun period shows the severe regulation to prohibit the member ofthe same clan from giving the wealth to other persons of a different clan. It is apiece of good evidence that a husband and wife managed respectively individualfortunes during the lifetime and their respective clan gathered the remained propertywhen they died without sons and daughters. As opposed to this, In the late Chosunperiod wife’s fortunes was absorbed in husband’s. In order to make it, I based itsapproach to paleography such as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and manuscriptsincluding punjae-gi(分財記, a documentary draft describing each allotment portion offortunes) as the primary sources and other relevant material as well.
    In the beginning of the Chosun dynasty, there were big attempts to change theexisting Inheritance law system since the late Korea Dynasty. The historical fact thatthe Korea Dynasty was buddist country, but the Chosun dynasty was confuciouscountry is also a important element of change. This transformation, I would like tocall the first transformation of Korean family law system in Korean history. It canbe characterised to be, so called, the enforcement Confucius Chonfa system(宗法制)by the reformest Chosun government. Above all these reforms it can be explainedthe change from so called Namguiyeoga(男歸女家), of the newly-wed husband takingresidence in his wife’s family’s residence to a new practice called Chinyeong-jae(親迎制). It was the first transformation of marriage system on the Korean history. Butthe attempts did not succeed in national range, but only in Royal Family. One of the characteristics in the inheritance of the Chosun Dynasty is uniquetradition developed from the Korea Dynasty. Also it shows many differences whencompared with the bequest systems of the neighboring country China. In traditionalChina the impartial distribution of fortunes was just for sons, but daughters merelyreceived a paucity of dowry when they get married. In fact, donors’ intentionnaturally was reflected in the distribution of their fortunes, but from time to time theheirs could claim for their ownership through the indictment when donors’ decisionwas so partial or ignored traditional custom. However, still many cases show thatsons and daughter had a choice to address to a district governor a plea after parentsdied rather than before. From the late of Korea Dynasty to the early of ChosunDynasty, Wife’s economic power is not weak. Her affection was the one of themajor factor of social effect. Especially In the Early Chosun Period, Wife’sIndividual Propert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ociety.
    On the other hand, One of the striking characteristics of the inheritance in theearly Chosun period was that such impartial distribution of fortunes, one of thecharacteristics in the inheritance of the Chosun dynasty, is unique tradition developedfrom the Korea dynasty. Also it shows many differences when compared with thebequest systems of the neighboring countries, China and Japan. In traditional Chinathe impartial distribution of fortunes was just for sons, but daughters merely receiveda paucity of dowry when they get married. As in the same context, it is hard tofind such unbiased distribution cases similar to the Chosun dynasty in Japan.
    Nowadays the second transformation of Korean family law system is on the way. Sostudying the experience of the early Chosun dynasty will be very important materialto the lawyers and scholars of these da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