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들뢰즈와 아감벤의 법 개념 (The Concept of Law in Deleuze and Agambe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3.10
32P 미리보기
들뢰즈와 아감벤의 법 개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68호 / 143 ~ 174페이지
    · 저자명 : 강선형

    초록

    들뢰즈와 아감벤은 철학의 영역에서 법을 사유하는 중요한 현대적 이론들을 제공하는 철학자들이다. 들뢰즈의 법에 대한 연구는 그 자신의 시간론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에 그 특징이있으며, 아감벤의 법에 대한 연구는 자신의 철학의 핵심 개념인 배제포함 구조를 통해서 사유한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그런데 두 사람은 모두 카프카를 경유하여 두 사람의 핵심적인 문제의식으로 나아간다. 먼저 들뢰즈는 카프카의 「법 앞에서」에서 우리에게 인식될 수있도록 그 내용이 주어져 있지 않은 법이 우리에게 처벌을 내림으로써만 언표된다는 것을 읽어낸다. 더 나아가 소송에서 K에게 완전한무죄판결이란 없으며 오직 판결을 ‘지연’시키는 방법만이 있을 수 있다고 말하는 화가 티토렐리에 주목하면서, 법과 시간의 문제를 탐구한다. 아감벤은 데리다의 「법 앞에서」에 대한 해석을 경유하여 카프카에 접근한다. 데리다는 열린 문 앞에서 들어가는 것이 ‘가능하지만지금은 안 되는’ 바로 이 상황이 우리를 둘러 싼 법과 우리의 관계라는 점에 주목한 바 있다. 법에 대한 접근 가능성은 ‘지금은 안 된다’ 는 방식으로 무한히 지연된다는 것이다. 아감벤 역시 이러한 들어갈수 있는 자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들어갈 수 없는, 그래서 자유롭지도 자유롭지 않지도 않은 법과 우리의 관계를 배제-포함 구조로 설명한다. 그렇기 때문에 아감벤의 카프카 읽기는 법이 그 내용이 주어져있지 않음에도 우리를 강제하고 있음을 의미한다는 들뢰즈의 사유와만나게 된다. 이 연구는 들뢰즈와 아감벤의 법 해석을 함께 탐구함으로써, 두 사람이 말하는 법의 강제로부터 우리를 해방시키는 방법과그 의의를 밝혀본다.

    영어초록

    Deleuze and Agamben are two important philosophers in the modern world who explore the concept of ‘law’. Deleuze’s examination of law is closely intertwined with his theory of time, while Agamben’s study of law centers around the exclusion-inclusion structure. Both philosophers draw from Kafka to develop their ideas further. Deleuze interpretation of Kafka’s “Before the Law” highlights that the law, with its elusive concent, is only known through the imposition of punishment. He also delve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law and time, particularly through the character of Titorelli, the painter in The Trial, who emphasizes the absence of absolute acquittal but instead mentions a state of “deferment.” Agamben approaches Kafka through Derrida’s interpretation of "before the law," which reflects on the situation of standing in front of an open door, where entry is “possible” but not allowed at the moment. This signifies our perpetual deferment of accessing the law. Agamben also conceptualized our relationship with the law as an exclusion-inclusion structure, where we exist in a state of neither f reedom nor unf reedom, unable to enter the law despite having the freedom to do so. Agamben’s reading of Kafka aligns with Deleuze’s idea that the law compels us even though its content remain hidden. By examining Deleuze and Agamben’s interpretations of law together,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how they envision liberating individuals from the coercion of la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