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법에서의 인문성과 문화예술법의 과제 (Art & Culture Law in the perspective of Humani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7.02
26P 미리보기
법에서의 인문성과 문화예술법의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홍익법학 / 18권 / 1호 / 79 ~ 104페이지
    · 저자명 : 박지윤

    초록

    이 연구는 문화예술법의 실정법적 영역의 구분이 단순히 주제에 입각한 법령의 체계화만으로 족한 것인지 아니면 독자적인 영역을 담당하는 법으로 구축되어야 하는지에 관한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런데 문화예술법이 독자적인 법의 영역으로 정립되기 위해서는 먼저 법의 성격이 명확하게 규정되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문화예술법을 향도하는 법이념이 무엇인지가 보다 분명해져야 한다. 이에 이 연구는 휴머니티 개념으로부터연원되는 다양한 용어와 그것이 활용되는 구체적인 맥락을 고찰하고 그 중에서도 인문성을 문화예술법의 법이념으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접근은 실정법 상의 문화예술법의 분류만이 아니라 학문적 체계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오늘날 문화예술법은 정립과정 중의 학문에 해당한다. 그런데 기존의 전통적인법체계의 내적 논리로 접근해서는 문화예술 영역을 법으로 잠식하게 될 위험이 있고, 반대로 미학과 문화사회학, 예술경영학과 같은 인접 학문의 연구 성과로부터 법을 통합하려는관점을 취해서는 발생된 사안에서의 법적 문제를 온전히 다룰 수 없다. 따라서 양자를 매개할 수 있는 통합적 접근이 요청되는 것이다. 인문성을 포괄하는 휴머니티는 문화예술법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법을 아우르는 법이념이지만 문화와 예술은 인문성이라는질적 요소를 창출하는 직접적 동인이 된다는 점에서 특별히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고할 수 있다.
    나아가 문화예술법에서는 경제 영역과 문화 영역이 충돌되면서도 서로 중첩되는 양상을 보이는데, 이때 법의 이념으로서 인문성에 대한 고찰은 무엇이 우선적으로 접근되어야 할지에 관한 한 가지 기준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이를 중심으로 한 분류는 문화예술법에서 ‘문화예술법’과 ‘문화산업법’등의 학문적 구분과 함께, 이들을 견인하는 ‘문화예술법이론’의 역할을 보임으로써 학문으로서의 문화예술법의 전체적인 체계를 가늠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present the highest value of the Culture & Arts Law centering on humanity derived from the concept of humanity, which is the ideal of the law. The research started from the problem of whether the categorization of the actual legal domain of Art & Culture Law should be satisfied by merely systematizing the statutory subject matter or building a legal standards that deals with its own domain. However, in order for Art & Culture Law to be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legal domain, the nature of the law must first be clearly defined, and in order to do so, it must become more clear what is the highest legal value of Art & Culture Law. Therefore, this article examines the various terms derived from the concept of humanity and the specific context in which it is used, and proposes “humanity” as the legal ideal of Art & Culture Law.
    This approach can contribute not only to the categorization of Art & Culture Law but also to the academic systematization. Today, Art & Culture Law is a field of study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However, there is a danger that if approaching with the internal logic of the existing traditional legal system, the area of culture and art is invaded by law. Conversely, taking a viewpoint of integrating law with the results of research in neighboring studies such as aesthetics, cultural sociology, and arts management can not fully cover the legal problems in the issues that arise. Therefore, an compromised approach to mediate between the viewpoints is required. Humanity is not only applicable to Art & Culture Law, but is the ideal of the law that encompasses all laws. However, culture and art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n that they are direct motives of the qualities of humanity.
    Furthermore, in Art & Culture Law, the economic and cultural areas collide with each other and overlap each other. As regards this issue, the consideration of humanity as the ideal of law may provide a basis for what should be prioritized. In addition, the categorization centering on humanity clears up the academic subdivision such as 'Culture and Arts Law' and 'Cultural Industry Law' in the domain of Art & Culture Law, and it is able to take a role of 'the theories of Art & Culture La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홍익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