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행 법질서에서의 가족법의 위상과 과제 (Status quo und Aufgabe des Familienrechts im heutigen Rechtssystem)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1.05
38P 미리보기
현행 법질서에서의 가족법의 위상과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사법 / 28권 / 2호 / 25 ~ 62페이지
    · 저자명 : 이동수

    초록

    본 연구는 민법 내에서 가족법의 체계적 이해와 헌법과 사회법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제기되는 주요 문제들을 개관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수많은 권리와 의무의 총체로 이해되고 있는 가족법의 법률관계에 대한 민법의 친족편의 규정은 가족관계에 대한 실체법상의 규범질서라고 이해되는데, 그로부터 개별적 권리와 의무가 개인에게 귀속된다. 재산법 특히 채권법에서는 법률관계의 자율적 형성의 여지가 당사자에게 포괄적으로 허용되지만, 가족법에서는 그러하지 아니하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마찬가지로 개인에게 귀속되는 구체적인 권리도 재산법에서는 의사의 작용의 결과로 법률효과의 귀속의 정당성이 인정되지만, 가족법상의 권리는 개인의 의사가 아니라 개인의 특별한 주관적 표지(예컨대 출생, 혼인 등)가 인정될 때에만 귀속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차이가 있다.
    여기서 다시 개인에게 가족법상의 권리의무가 인정되기 위해서는 당해 객관적인 가족법상 법률관계가 주관적으로 귀속될 수 있는 정당화요소가 필요한데, 그와 같은 매개적 기능을 신분의 개념이 담당한다. 따라서 가족법상의 신분은 가족법상의 법률관계의 개인적 귀속을 위해서 법질서가 요구하는 개인의 주관적 속성 내지 표지라고 이해할 수 있다. 이처럼 가족법상의 법률관계는 자연인의 특별한 속성인 신분을 매개로 하여 법질서에 의하여 개인에게 귀속되는 것으로서 그로부터 가족법상의 법률효과인 구체적인 권리와 의무가 정초된다는 체계적 이해가 가능하게 된다. 이점에서 법률혼의 요건이 구비되지 아니한 채 당사자의 의사만으로 혼인관계의 법률효과가 인정될 수 없다고 볼 수 있으므로, 동성혼이나 사실혼은 현행 가족법의 해석론으로는 인정되기 어렵다.
    이처럼 가족법의 법률관계에서는 객관적인 법질서의 측면이 매우 강조되므로 실정법인 민법의 규율을 넘어 헌법적 관점에서의 고찰이 필요하다. 우리 헌법질서가 혼인과 가족을 제도로서 보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족에 대한 민법의 실정법규정의 자기정당성 및 완결성을 인정할 수 없으며 그에 대한 해석과 입법의 경우 반드시 헌법적 관점에 따른 면밀한 검토가 요구된다. 이점에서 최근에 자주 논의가 되는 동성혼 및 다양한 혼인형태를 둘러싼 논쟁의 문제도 실체법 질서인 민법의 규율의 문제를 넘어서 헌법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할 필요성이 있음은 자명하다. 마찬가지로 자녀 및 아동의 복리에 대한 문제의식도 같은 관점에서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헌법이 추구하는 사회국가의 원리에 따라 근거되고 있는 사회법적 부조도 가족법의 개정 및 해석에서도 전향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Der Schwerpunkt der vorliegenden Untersuchung liegt darin, wie man mit den familienrechtlichen Normgefügen systematisch umgehen kann. Darüber hinaus sind die Übersicht über den Lösungswege zu den weiteren Fragen zu schaffen, die sich im Bezug auf das Verfassungsrecht und Sozialrecht stellen können.
    Im Gegensatz zu den vermögensrechtlichen Rechtsverhältnissen handelt es sich in den familienrechtlichen Verhältnisse um die objektive Rechtsordnung, welche für die Verkehrsteilnehmer lediglich ein zwingendes Recht darstellt. Insofern lassen sich die familienrechtlichen Rechtsfolgen nur im gesetzlichen Rahmen anerkennen. Somit ist das familienrechtliche Rechtsverhältnis nicht rechtsgeschäftlich sondern gesetzlich zu begründen und daraus ergibt sich eine Vielzahl von den subjektiven Rechte und Pflichten. Für die Begründung eines familienrechtlichen subjektiven Rechts sind notwendig die weiteren personenrechtlichen Eigenschaften, die zwischen Rechtssubjekte und familienrechtlichen Verhältnisse vermittelt werden können. Diese besonderen Eigenschaften betracht man als “status”. Somit stellt status eine gesetzliche Grundlage für die personenrechtliche Zurechnung der Rechte und Pflichten in den meisten familienrechtlichen Sachen dar.
    Allerdings muss man über die Frage nach der subjektiven Zurechnung der Rechtfolge hinaus weitere Gesichtspunkte berücksichtigen, die sich überhaupt auf die objektive Rechtordnung des Familienrechtsverhältnisses beziehen. Dabei handelt es sich vor allem um die institutionelle Garantie der Ehe und Familie in der verfassungsrechtlichen Ordnung. Ohne dies wäre es leergegangen, dass die materielle Voraussetzung für das familienrechtliche Rechtsverhältnis unter die Lupe genommen wird, weil es die Gefahr der Verfassungswidrigkeit der dispositiven Familienrechtsnorme besteht. Darüber hinaus ist für die gegenwärtige Überlegung darüber, ob neue Familienform (z. B. Regenbogenfamilie oder Ehe für alle) gesetzlich verankert werden sollte, eine verfassungsmäßige Prüfung erforderlich. Schließlich ist es außer Frage, dass für die zahlreichende familienrechtlichen Fälle eine Schnittstelle zwischen dem Familien- und Sozialrecht in Betracht kommt.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