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법사학연구 창간 50주년을 맞이한 한국법사학회의 서양법사 연구: 법사학연구의 점유법 연구성과와 과제 (50th Anniversary of Korean Journal of Legal History and Studies of Korean Society of Legal History on Western Legal History: Focusing on Achievements and Tasks of Korean Journal of Legal History regar)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4.11
36P 미리보기
법사학연구 창간 50주년을 맞이한 한국법사학회의 서양법사 연구: 법사학연구의 점유법 연구성과와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법사학연구 / 70호 / 257 ~ 292페이지
    · 저자명 : 최윤석

    초록

    1973년 3월 한국법사학회가 설립되었다. 이듬해인 1974년 7월 한국법사학회가 법사학연구 창간호를 발행한 이후로 한국법사, 서양법사, 동양법사, 로마법, 교회법 및 법사상사 분야의 다수의 값진 연구성과들이 현재까지 축적되고 있다. 1974년 법사학연구 창간호로부터 최근 2024년 5월에 발행된 법사학연구 제69호에 등재된 논문들을 검토해 본 결과 서양법사와관련된 연구는 다수이지만, 점유와 직접 관련된 연구결과와 점유를 주제로 한 발표는 적은 편으로 조사되었다.
    점유법 분야에서 논의의 핵심쟁점은 점유권이다. 사실인 점유를 근거로 하는 점유권의 개념과 용어가 불명하고, 법리적 문제가 발생하므로, 민법개정시 삭제하자는 의견이 계속 주장되어 오고 있다. 한국민법에 규정된 점유권은 일본민법상의 점유권의 개념을 무비판적으로계수한 결과물이다. 점유권이라는 용어가 삭제되어야 비로소 이와 관련된 여러 규정이 개정될 수 있다.
    점유권에 관한 문제는 서구 유럽의 점유제도를 일본이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로마법대전 등의 원전에 대한 잘못된 번역과 이해에 기인한다. 예컨대 라틴어 ius possessionis를 정확하게이해하고 번역하였다면, 점유권이라는 개념은 발생될 일이 없다. 결국 로마법대전, 독일문헌등에 나타난 원문의 1차적인 번역과 이해에서 오류가 생긴 문제로 생각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 등에서 발간된 2차문헌을 간접적으로 연구하여 그 결과를 활용하기보다는, 1차 문헌을 번역하고 연구하여 정확한 법개념과 법이론을 발전시켜 나가야 할 과제 앞에 한국법사학회는 직면해 있다.

    영어초록

    The Korean Society of Legal History was established in March 1973. In April of the following year, the first edition of the Korean Journal of Legal History was published. Since then, numerous valuable research achievements in the fields of Korean legal history, Western and Eastern legal history, Roman law and canon law have been published. A comprehensive review from the first edition of the Korean Journal of Legal History in 1974 to the recently published edition 69 in May 2024, reveals that many studies are related to Western legal history, only a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possession and possession related topics.
    The key issue of discussions on the Korean law of possession is the possession right which is perceived as a property right, despite possession is a mere fact. Since the concept and term of possession right are uncertain, legal issues have arisen, leading to ongoing debates to delete the possession right in amendments to the Korean Civil Code. The possession right stipulated in the Korean Civil Code is the result of uncritically adopting the possession right under the Japanese Civil Code.
    One potential cause of the problem related to possession right may be the incorrect translation of Corpus Juris Civilis and other Roman legal texts, as well as in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legal nature of possession caused by the incorrect translated term in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Western European possession system by Japanese legislators. If Japanese legislators had accurately understood and translated the Latin term ius possessionis, the concept of possession right would presumably not appear in the Korean Civil Code. The only explanation for the existence of the possession right is the initial translation error and misunderstandings of relevant texts in Corpus Juris Civilis and German legal literature.
    To address this problem, the Korean Society of Legal History is facing the task of translating and studying primary literature to develop accurate legal concepts and legal theories, rather than indirectly researching secondary literature published in Japan and other countries and utilizing the resul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