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보험면책약관상 고의의 범위에 대한 고찰 -미필적 고의를 포함하는지를 중심으로- (Review on the scope of intention under the insurance exception claus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22.12
25P 미리보기
보험면책약관상 고의의 범위에 대한 고찰 -미필적 고의를 포함하는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업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업법연구 / 36권 / 4호 / 95 ~ 119페이지
    · 저자명 : 박인호

    초록

    민법에서는 고의와 과실의 경계를 구분하기 위한 노력이나 고의의 개념을 정립하기 위한 구체적인 논의를 발견하기 어렵다. 손해배상책임의 요건인 고의를 설명함에 있어서 대부분 형법에서 논의된 고의 개념을 그대로 차용하면서 고의는 미필적 고의를 포함한다고 설명하고 있을 뿐 차이를 두지 않고 있다. 이러한 태도는 상법의 영역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다.
    고의는 법 영역별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며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형법상 고의에 미필적 고의가 포함된다고 하여 상법상 보험자의 면책사유인 고의에 미필적 고의가 당연히 포함되는 것으로 단정하는 것은 면책사유의 기능과 근거를 고려할 때 재고의 여지가 있다. 보험계약에서 면책사유인 고의는 보험으로 담보하는 위험이 발생한 경우에도 보험자의 책임을 면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점에서 범죄행위 또는 위법행위에 대한 책임의 근거로 기능하는 형법 또는 민법상의 고의와는 기능과 근거에 차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전문인책임배상보험의 면책약관을 최초로 작성한 미국과 이를 도입한 영국이 형법이나 불법행위법의 고의 개념을 차용하지 않고 보험의 기능을 고려하여 면책적 고의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통하여 손해에 대한 의도적 또는 확실한 고의의 의미로 파악하고 있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임원배상책임보험은 임원들이 원활하게 경영활동을 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한편, 피해자에 대한 보호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된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면책사유인 고의의 범위를 제한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약관의 내용이 불분명한 경우 보험계약자에게 유리하게 해석하는 것이 약관해석의 원칙에 부합하므로 위와 다른 해석의 가능성이 제시된다고 하더라도 면책조항의 의미와 범위에 대한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 자체만으로도 해당 약관이 불명하다는 것이 이미 확인된 것이므로, 약관상의 면책사유의 의미는 명시적 설명을 둔 경우가 아니면 제한적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보험약관상 면책사유인 고의는 손해의 결과를 인식하고 용인한 것으로는 부족하고 그 결과를 실현시키려는 의도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영어초록

    In the Civil Code, it is difficult to find concrete discussion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intention or effort to distinguish the boundary between intentional and negligence. In explaining intentionality, which is a requirement for liability for damages, most of them borrow the concept of willfulness discussed in the Criminal Act as it is, and explain that intentional intention includes willful negligence. This attitude is not much different in the realm of commercial law.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ntentional intent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in each area of law. In the criminal law area, willful negligence falls within the scope of intention. Even so, when considering the function and basis of the grounds for exemption, it is not correct to conclude that the insurer's reason for indemnification includes willful intentions as a matter of cours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ntention, which is a reason for exemption from insurance contracts, functions to exempt the insurer from liability in the event of an insurance accident, whereas intention under criminal or civil law functions as a basis for liability for criminal or illegal acts. The United States, which first drafted the disclaimer of professional liability insurance, and the United Kingdom, which introduced it, did not borrow the concept of intentional or tortious acts of criminal law or tort law, but considered the function of insurance and took various approaches to indemnification intentionally or clearly for damage.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it is understood as intentional.
    Considering that executive liability insurance is designed to ensure that executives can smoothly conduct business activities and to protect victims, it is desirable to interpret the scope of intention, which is the reason for immunity, in a limited way.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ents of the terms and conditions are unclear, interpretation in the policyholder's favor is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 of interpretation of the terms and conditions. Since it has already been confirmed that the terms and conditions are unclear, the meaning of the reason for exemption in the terms and conditions should be interpreted limitedly unless there is an explicit explanation. In this case, In the insurance contract, intention as a reason for exemption is not enough to recognize and tolerate the consequences of damage, and it is reasonable to interpret it as an intention to realize the consequen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업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