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韓國 近代期 梵鍾의 樣式的 特徵과 製作技法 硏究 (A Study on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Making Techniques of Korean Modern Buddhist Bell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4.06
26P 미리보기
韓國 近代期 梵鍾의 樣式的 特徵과 製作技法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42호 / 67 ~ 92페이지
    · 저자명 : 원보현

    초록

    한국 근대기 범종은 급변하는 시대상황의 영향 속에서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개항과 함께 시작된 일본불교의 침투 속에서 유입된 일본 범종의 영향으로 현존하는 근대 범종 수의 대부분을 외래형 범종이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기독교와 일본불교의 포교활동에 위기의식을 느낀 한국불교가 전국적으로 포교활동을 시작하면서 1930년대부터 해방이 될 때까지 20여구의 전통형 범종 제작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진다.
    1890년대부터 유입되기 시작한 일본 범종은 일본 불교의 포교활동이 성행하면서 점점 더 많은 양이 유입되기 시작하였고, 점차 수요가 늘어나면서 국내장인들에 의해서도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국내장인들의 손을 거치면서 외래형 범종 양식에 조선시대 종에서 보이는 보살입상과 9개의 연뢰를 표현하는 혼합형 범종이 탄생하게 된다. 따라서 근대기 초기에는 외래형이 주류를 이루고 중기에는 전통형이 제작되며, 후기에는 혼합형으로 변화해 가는 것을 알 수 있다.
    근대기 범종은 제작기법에서도 전통형과 외래형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 시기에 전통형 범종을 제작한 대표 주종장인으로 김치운을 들 수 있는데, 金致云은 1916년 <雙溪寺銘 梵鍾>의 중수작업부터 명문에 이름이 보이기 시작하며, 이후 <大乘寺銘 梵鍾>(1929년)부터는 직접 주종작업을 시작한다. 이후 김치운은 조선시대 범종의 양식을 따르면서도 자신만의 독특한 양식을 구축하며 1940년대 말까지 다수의 작품을 남긴다.
    근대기 범종을 고찰 해 본 결과 19세기 이후 단절되었을 것으로 여겨졌던 전통주조기술은 근대기에도 일부 장인들에 의해 전승되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외래형과 혼합형 범종을 통해 근⋅현대를 거치며 한국 범종 제작기술이 변화하게 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Korean modern Buddhist bells developed in diverse patterns due to the rapidly changing historical situations. By the influence of Japanese Buddhist bells imported along with the infiltration of Japanese Buddhism initiated by port opening, most of modern Buddhist bells extant are of foreign style. As Korean Buddhism sensed the crisis posed by the propagation activities of Christianity and Japanese Buddhism, however, it created about 20 traditional‐style Buddhist bells during the short period from the 1930s to the Liberation.
    The number of imported Japanese Buddhist bells, which began to stream into Korea from the 1890s, gradually increased together with prevailing propagation activities of Japanese Buddhism, and it is believed that domestic artisans also made Japanese‐style bells in order to meet the expanding demand. By domestic artisans, as a result, hybrid Buddhist bells were created during the Chosun Dynasty, which were characterized by a standing Bodhisattva statue and nine lotus buds. This indicates that the mainstream of Buddhist bells was of foreign style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modern times, of traditional style during the middle period, and of hybrid during the late period.
    The making method of modern Buddhist bells was also different between the traditional and foreign styles. Chi‐woon Kim (金致云) was a representative bell caster who made traditional‐style Buddhist bells during this period. Kim’s name began to appear in the inscriptions from the repairing work of the <Buddhist Bell Inscribed with the Name of the Ssanggye‐sa Temple (雙溪寺銘 梵鍾)> in 1916, and he began to do bell casting by himself from the <Buddhist Bell Inscribed with the Name of the Daeseung‐sa Temple (大乘寺銘 梵鍾)> in 1929. Since then and until the late 1940s, Chi‐woon Kim established his own unique style based on the traditional style of the Chosun Dynasty and created a number of works.
    By examining modern Buddhist bells, this study confirmed that traditional casting technology, which has been believed to have died out since the 19th century, had been transmitted through a few artisans even during the modern times. Through foreign‐style and hybrid Buddhist bells, furthermore, this study improved our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Buddhist bell making technology in Korea during the modern and contemporary a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