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회복적 사법에 대한 비판적 소고 - 소년범을 중심으로 (The Concept of Restorative Justi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9 최종저작일 2018.08
36P 미리보기
회복적 사법에 대한 비판적 소고 - 소년범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년정책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년보호연구 / 31권 / 3호 / 285 ~ 320페이지
    · 저자명 : 이용식

    초록

    소년범죄가 날로 흉포해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형사사법체계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는 비판이 거세다. 이에 최근 발전 중에 있는 회복적 사법 이념 및 절차가 소년범죄 영역에 적용되어야 한 다는 주장들이 대두되고 있다. 회복적 사법은 가해자와 피해자의 절차 참여와 쌍방의 화해와 협 의, 그리고 피해보상 등을 핵심적인 요소로 삼는다. 이 과정에서 지 역사회 또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회복적 사법은 응보나 범죄예방이 아니고 치유와 화합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형사사법절차와 근본적인 차이점을 지닌다. 유감스럽게도 회복적 사법 이념에는 아직까지 모호성이 많이 남 아 있고 회복적 이념에 기초하여 입법된 여러 현실의 법제도들도 해명이 필요한 난제들을 갖고 있다. 예컨대 누가 절차를 주도하여 야 하는 것인지, 절차에 참여하는 것이 오히려 당사자들에게 불이 익을 야기하는 것은 아닌지, 회복적 사법은 강제적으로 참여할 필 요가 있는 것인지 등의 의문들이 그것이다. 이러한 의문들이 남아 있는 한, 막연한 자세로 회복적 사법은 좋은 것이니까 특수한 대책 이 필요한 소년범 영역에 시범적으로 적용하여 보자는 논리는 선뜻 받아들일 수 없다. 소년은 성인보다 보호받아야 하는 집단이지 새 로운 제도에 대한 실험이 필요할 때 우선 제공되는 집단은 아니기 때문이다. 설령 회복적 사법의 이념에 반대하지 않더라도, 그리고 더 나아가 그것을 소년과 소년범죄에 대해 적용하는 것까지 찬성하 더라도, 소년은 어느 경우에나 성인보다 형사법에서 불완전한 지위 이고 절차로부터의 보호 대상이라는 점이 잊혀서는 안 된다. 이는 단순한 도덕심이나 동정심이 아니고 책임주의를 채택한 우리 형법 의 당연한 결론이다

    영어초록

    Juvenile crime is getting increasingly brutal. The criminal justice system so far has been sharply criticized for its inability of coping with the condition. As a consequence, the voice has been raised that the restorative justice ideology and procedures, currently under development, should be applied to juvenile delinquency. Restorative justice has key factors as such the procedure of the perpetrators and the victims, participation along with reconciliation and a compromise between both parties, and compensation for the victim. In this process, the local community plays an important role as well. Restorative justice can be separated fundamentally from the existing criminal justice process by that it aims for healing and harmonizing rather than retaliating or preventing the crime. Unfortunately, the restorative judicial ideology remains highly ambiguous, and the various legal system in the present has to answer to the difficult questions; who should lead the process, whether participating in the process would bring out disadvantages to the parties, or whether participating in the process need be obligatory illustrate the examples. With these questions unsolved, it is hard to take the argument to apply restorative justice on a trial basis to the area of juvenile delinquency which rather needs special countermeasure, by merely claiming its goodness obscurely; juveniles are not the group the first to be provided when an experiment of a new system is necessary, but the one that needs to be protected prior to adults. Even if the ideology of restorative justice is not being opposed to, or even more when it is agreed to be applied to juvenile and juvenile crime, it should be elucidated in any circumstances that juveniles are given an incomplete position in the criminal law unlike adults and the ones to be protected in procedures. Not mere moral or sympathy, the reasonable conclusion is derived correspondingly from the criminal law adopting responsib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