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고전에 나타난 뱀의 상징성 고찰 (A study on the symbolism of snake, Japanese classic)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7.05
26P 미리보기
일본 고전에 나타난 뱀의 상징성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림일본학 (구 한림일본학연구) / 30호 / 33 ~ 58페이지
    · 저자명 : 문인숙

    초록

    본고는 일본 고전문학에 나타나는 뱀의 상징성을 뱀눈 문양(蛇の目)과 관련지어 재조명했다.
    상대문학의 뱀은 주로 확대 과장한 외형적 특징을 이용해 영웅성을 획득하는 통과의례의의미와 함께 수호신과 재앙신이라는 이율배반적인 상징의미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平安 時代의 섬세하고 우아한 세계를 추구했던 분위기와는 달리, 뱀의 신체적 특징은 노골적으로남근이라는 남성성의 상징이 되는 한편, 불교의 인과응보 사상, 육도윤회 사상 등과 맞물려종교적, 교훈적 색채가 농후해지는 현상을 보이며 다양한 의미의 스펙트럼이 확대되었다.
    그 결과 상고문학의 남성적, 공격적, 신적인 이미지는 퇴색되고, 불교와 접목되어 축생의 하나로 다뤄지거나 엽기적 음담패설의 대상으로 전락된 측면이 강하다. 중세문학에서는 뱀은上代에 비해 왜소해지고 독자적 신위가 아닌 불법을 수호하는 주변적 신위로 격하되면서도전쟁과 관련된 영웅성을 입증하는 뱀의 영력은 그대로 계승되고 있었다. 원시적이지만 강력한 영적 존재로 그려지는 상대 문학의 이미지를 향수하며 하나의 상징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재앙신과 수호신이라는 상징의미와 뱀신의 후예가 영웅을 낳는다는 三輪山 전설의 신앙이 呪符로써의 蛇の目 문양과 합치하면서 家紋으로 발전했으리라고 본다. 따라서 뱀의 공격성과 원추형 모습이라는 뱀 이미지의 대표성과는 상관없이 뱀의 모든 영력의 결정체로써 구슬과 같은 주술성을 상징하는 뱀눈이 家紋에 투영되었다고 주장하는 바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has been reviewed the symbolism of the snake appearing in the classical Japanese literature in relation to the snake's eye.
    In the ancient literature of Japan, it can be understood that snakes have an antinomical symbolic meaning of guardians and disasters as well as the meanings of the rites of passage through which to acquire heroism mainly through the use of the exaggerated external features. Unlike the atmosphere of the Heian era, which pursued a delicate and elegant world, the snake became blatantly a symbol of man, the penis because of the physical feature. With the Buddhist thought such as punitive justice, the eternal cycle of birth, etc, religious and instructional colors were enriched and the spectrum of the various meanings was expanded. As a result, the masculine, aggressive, and divine image of the ancient literature has been faded and it was treated as one of the humble animal with the Buddhism or fallen into the subject of obscenity. In the medieval literature, the snake succeeded to the snake's spiritual power, which proves heroism related to war, even though it had been dwarfed as compared to the ancient literature and demoted as Buddhism guardian which does not have an original divinity. Embracing images the images of the ancient literature drawn as a primitive but powerful spiritual being, a symbolic system was formed.
    As the snake's eyes combined with the symbols of the guardian and disaster and the Miwansan legend that the descendants of the snake god lays heroes it seems to be developed as a family crest. It is claimed that the snake's eye, which symbolizes the crystal of all spiritual powers, was projected on the snake eyes of the family crest, regardless of the representive images of the snake like attackability and conical shap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림일본학 (구 한림일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