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립중앙박물관 전시연계 교육 “박물관 백년의 비밀”을 통해 본 박물관 교육의 고찰 (The study of Museum Education through "The Secret of Museum 100years" Education Program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0.07
15P 미리보기
국립중앙박물관 전시연계 교육 “박물관 백년의 비밀”을 통해 본 박물관 교육의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6권 / 79 ~ 93페이지
    · 저자명 : 이길은, 조혜진

    초록

    박물관 교육은 관람객들이 박물관에서 즐겁고 능동적인 관람을 하며, 그 속에서 배움을 익히게 하고자 하는데 있다. 박물관은 전통적으로 유물을 수집하고, 보존, 연구, 전시를 하는 곳으로 인식되어 있다. 그러나 박물관의 궁극적인 목적은 소장품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보는 관람객에게 있다. 다시 말해 박물관은 대중들에게 인류의 발자취인 소장품을 전시나 연구 등을 통해서 보여주고자 하는 공간인 것이다. 유럽에서 박물관은 그 초기부터 문화교육기관으로 사회에서 인식되어 왔다.
    국내에서 박물관의 교육적 기능과 역할이 학문적 차원에서 고려되기 시작한 것은 불과 10여 년 전의 일이다. 일찍부터 그 교육적 기능이 주목되어 공공기관으로서 지역사회에서 자리 잡기 시작한 서구의 박물관과는 달리 국내에서 박물관은 그저 수학여행의 코스, 학생들에게는 수행평가의 대상으로만 존재해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국립박물관을 비롯한 많은 박물관․미술관들이 관람객 중심의 박물관을 표방하면서 문화교육의 중심으로 일어서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2009년 한국 박물관 개관 100년을 맞이하게 되어 박물관의 역할에 대해 다시 한번 재고하는 시점이 되었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작년에 한국 박물관 100년을 돌아보는 특별기획전 “여민해락” 전시를 열었다. 이와 연계한 교육프로그램 “박물관 백년의 비밀”은 어린이 동반 가족을 대상으로 하여 전시 기간 중에 인기리에 운영되었다.
    이 글에서는 “여민해락” 전시의 기본 내용을 살펴보고 연계 교육프로그램인 “박물관 백년의 비밀”을 관찰조사하고 교육담당자, 참가자와의 인터뷰 등을 통해 박물관 교육이 현장에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심도깊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박물관의 중심축이라고 할 수 있는 전시와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관계 맺어져야 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박물관 교육의 방향과 비전을 재고해 볼 수 있으리라고 본다.
    박물관 교육은 타부서와의 협업을 통해서 완성될 수 있다. 즉, 박물관에서 독립된 영역이지만 관람객 연구, 소장품 분석, 전시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영역과의 부단한 협조가 필요한 것이다. 전시를 기획하고 이와 연계한 교육프로그램이 운영되는 단순한 현실에서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이 요구된다. 이 논문에서 살펴본 전시연계 교육프로그램을 통해서 우리에게 부족한 부분을 인지하여 이를 채워나가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아직까지 대중들에게 박물관 교육은 단순히 “프로그램”의 차원에서 접근되어지고 있다.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수많은 박물관 교육에 대해서 대중과 연구자의 기대를 채워줄 실제적인 움직임이 부족하다. 그나마 안정적인 운영 시스템과 재정 지원을 받는다는 국립 박물관도 박물관 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비전을 재시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를 짧은 역사에서 찾을 수 있겠지만, 박물관의 내외부적인 관심 부족도 들 수 있다.
    현재 전국에 박물관․미술관의 수는 600개가 넘는다. 지금도 각 시․도별로 박물관을 건립하고자 노력하는 곳이 많다. 결코 작은 수라고 할 수 없는 이런 상황에서 보다 필요한 것은 각 박물관들이 사회에서 어떠한 역할과 방향을 갖고 나아가는지를 설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박물관 교육의 역할은 더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박물관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과 관련 행사 등을 통해서 관람객과 호흡하고 대중들에게 다가갈 수 있는 박물관을 만드는데 박물관 교육의 역할이 절실하며, 이러한 점에서 박물관 교육은 미래지향적인 잠재력이 있다고 본다.

    영어초록

    The museum education is intended to enable spectators to watch the valuable objects actively and to learn from them in the museum. The museum has been recognized as a place where the traditional and historical relics are gathered, kept, studied and displayed. However, a core target of the museum is spectators who watch them, not the museum’s collection. In other word, the museum is the space where the collection is displayed to the public through the exhibition or study. In Europe, the museum has been recognized as a culture education institution in the society from the earliest days.
    In Korea, the educational function and role of the museum stared to be considered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just 10 years ago. Unlike the western museum which started to be settled as the public institution in the local society because its educational function was noticed early, the Korean museums exist only as the target of school trip and performance evaluation for students. But, in recent years, the Korean museums including museums and galleries as well as the national museum have become the center of culture education by carrying the banner for the spectator-centric museum.
    In such the situation, the museum’s role was considered again in celebration of its 100th anniversary in 2009.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ad the special exhibition “Yeo-Min-He-Rak” to reconsider 100 years’ Korean museums last year. Being the linked education program, “A Secret of the Museum’s 100 Years” was running for the family accompanied with children amidst rising popularity during the period of exhibition.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basic contents of “Yeo-Min-He-Rak”, to check into the linked education program, “A Secret of the Museum’s 100 Years”, and to deeply identify how the museum education has been performed in the field through interview with the education officials and participants. Through it, the study is aimed to analyze how the exhibition and education which is the center of the museum is formed and is correlated with each other. Furthermore, the direction and vision of the museum education will be considered.
    The museum education can be perfected through collaboration with other departments. That is, it is independent from the museum but a constant cooperation with diverse areas such as the spectator research, collection analysis and exhibition display is required. There needs more professional and systematic system, not the exhibition planning and its linked education program. It is necessary to perceive what we need through the exhibition-linked education program mentioned in this study.
    The museum education has been provided to the public just from the perspective of “program”. The museum education provided in the field is not enough to satisfy the public and researchers. Eve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at has the stable operation system and financial supports has not presented the systematic vision for the museum education. The reason can be found in the short history, but the biggest problem is the lack of internal and external interests of the museum.
    There are more than nation-wid 600 museums and galleries now. Many local governments have strived to build up the museum even now. What is necessary in this situation is that each museum should establish its role and direction in the society. At this point, the role of the museum education becomes more significant. The role of the museum education is desperately needed in making the museum of attracting spectators and approaching the public through diverse education programs and related events in the museum. Accordingly, the museum education seems to have the future-oriented potenti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