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등영어수업에서 백워드 설계 모형 기반 자기평가 구성의 방향 (On the Direction of Primary Learner Self-assessment Based on Backward Design Model in Primary English Classes)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7.09
17P 미리보기
초등영어수업에서 백워드 설계 모형 기반 자기평가 구성의 방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초등교육 / 28권 / 3호 / 61 ~ 77페이지
    · 저자명 : 김진석, 장은숙

    초록

    교실수업에서 교사는 단지 지식만을 전달하는 역할을 넘어서 학습자들이 필요한 정보를 스스로 탐색하여 과제를 완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촉진자, 조언자, 상담자, 모둠 활동 운영자의 역할을 수행해야한다. 또한 교사는 학습자들이 교수·학습 활동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를 상시적으로 점검하고 그 결과를참고하여 자신의 수업을 성찰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영어 교실수업에서 백워드 설계 모형과자기평가의 유용성을 살펴본 후, 수업지도안 작성 시 백워드 설계 모형 기반 자기평가 구성의 방향을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백워드 설계 모형과 자기평가에 대한 개념들을 바탕으로수업지도안의 분석 기준을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서울시교육청과 서울교육대학교가 영어로 진행하는영어 수업(Teaching English in English: TEE)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TEE-ACE 인증제에 제출한 초등교사 다섯 명의 수업지도안(세안 또는 약안)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먼저 학습자들의 요구나 시대적‧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학습의 변화를 설명, 해석, 관점 가지기, 공감등으로 세분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하지는 않았다. 둘째, 설정한 평가기준들은 학습자들이 구현한 학습활동을 얼마나 달성했는지를 제대로 측정하지 못했다. 셋째, 수업 활동 계획 시, 자기평가나 상호평가를 계획하지 못하였고, 정의적 측면에서 학습자들의 흥미, 학습동기, 자신감 등을 지속할 수 있도록 수업활동을설계하지 못하였다. 넷째, 형식적 조작기에 있는 학습자의 인지 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유아기에 해당되는활동을 설계하였기 때문에 의미있는 의사소통을 함양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자기평가를할 수 있도록 계획하거나 학습자의 성찰 및 수정 안내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을개선하는 방향으로 수업 활동의 과정 속에서 학습자들의 활동을 평가할 수 있는 백워드 설계 모형 기반자기평가표를 제안하였다. 자기평가표는 백워드 설계 모형을 바탕으로 학습태도와 학습활동의 평가영역을좀 더 확장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학습태도에 관점 갖기와 공감하기를 설정하여 학습자들이 학습목표를제대로 이해했는지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학습활동에서의 수업내용 이해도에서는 학습자들이의미를 알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가를 기준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영어는 상대방의 말이나 자신이표현하고자 하는 의미를 제대로 파악해야 하고, 자신의 의도를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학습활동 영역에서 상호작용의 정도를 평가의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무엇보다도교실수업의 성패는 교사와 학생 간, 학생들 간 상호작용을 역동적으로 하여 서로의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자기평가표는 학습자들이 스스로 학습목표에 제시된학습의 변화를 설명, 해석, 관점 가지기, 공감 등으로 세분하여 점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설명이나 해석의측면에서는 학습한 어휘, 의사소통 기능, 언어형식 등에 대한 의미를 파악했는지, 학습자 자신의 관점을가지고 공감하는 능력을 갖추었는지 등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였고, 또한, 인지적, 정의적 측면에서는흥미를 가지고 주어진 과제를 자신감있게 완수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는지를 스스로 평가할 수 있도록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primary learner self-assessment based on backward design model in primary English classes. For this, recent papers on backward design model and self-assessment tools were reviewed and investigated, and expert meetings were carried out to deliberate on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self-assessment sheet based on backward design model in primary English classes. According to Wiggins and McTighe(2005), the model was composed of three steps such as identifying the results desired, culminating assessment tasks, and designing activities.
    Compared with Tyler(1949), the phase of setting up assessment criterion is carried out before designing tasks and activities. Based on the framework of backward design model, the self-assessment sheet was composed of learning attitude(preparation, learning involvement, motivation, self-confidence, perspective, and empathy) and learning activity(understanding of lesson content, accomplishing of tasks, interaction among learners, checking learners’ progress, personalization, and creativity) considering WHERE-TO approach(where and why, hook and hold, explore and equip, rethink and reflect, evaluate, tailor, and organize). In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self-assessment sheet based on backward design model needs to be applied to improve primary learners’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tasks implemented in the clas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초등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