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비백제시대의 서예와 그 의의 (The Calligraphy of Sabi Period in Baekje and Its Significan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7.06
31P 미리보기
사비백제시대의 서예와 그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88호 / 129 ~ 159페이지
    · 저자명 : 이은혁

    초록

    본고는 사비백제시대의 서예사적 의의를 다닐렙스키의 미학적 역사관과 유가의 미학적 개념인 문질론적 입장에서 조명한 것이다. 기존의 연구는 주로 서체분석에 치중하여 중국 남북조 및 수당과의 영향관계에서 논해졌다. 이러한 논의를 수용하면서 사비 시기의 백제서예가 어떤 의미를 가지며, 또한 한국서예사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가를 탐구한 것이다. 이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수용하면서 문화사적 관점에서 새롭게 서예사적 의미를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사비시기는 백제의 후기로서 120년 남짓으로 백제사 전체로 볼 때는 시기의 폭이 넓지 않은 편이다. 그런데 최근 석각문자로서 창왕명석조사리감(567)과 사택지적비(654)가 발굴되었고, 금각문자로서 청동제 사리외합명문(왕흥사지, 577)과 금제 사리봉안기(미륵사지, 639)가 잇달아 발굴되었으며, 이외에도 궁남지를 비롯한 여러 곳에서 다량의 목간이 발견됨으로써 다른 시기보다 풍부한 문자자료를 확보하게 되었다. 이 역시 미학적 역사관에 비추어 왕조 말기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백제는 삼국시대에 속하므로 고대에 속한다. 이는 문질론에 비추어 質의 시대이다. 백제뿐만 아니라 삼국이 공통적으로 여기에 해당한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고 唐의 문화를 직수입하여 새로운 문화를 형성하기 이전으로 통일신라의 서예와는 확연히 구별된다. 삼국의 서예가 각각 독자성을 가지고 점차 정형화의 길을 걸으며 質에서 文으로 발전했지만, 한국서예사의 입장에서 보면 여전히 質의 단계에 해당한다.
    결론적으로 백제서예는 한국서예사의 태동기로서 질박한 자형을 간직하고 있으며, 웅진시기와 사비시기를 거치면서 점차 정형화의 시발점이 되고 있다고 하겠다. 질박하고 소박한 초기적 형태는 삼국이 공통적으로 지니는 특징이다. 이 시기에 書者가 아직 출현하지 않는다는 것도 공통점이다. 특히 백제사에서 사비시기는 백제인의 미감을 여실하게 구현함으로써 삼국 중에서 가장 세련되고 정제된 면모를 보이고 있다. 정형화된 석비가 출현하고 이를 통해 전형적인 해서를 구사하여 서체적 면모를 갖추었으며, 이후 통일신라에서 전형적인 해서가 토착할 수 있는 건실한 토대를 구축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discuss the significance of Sabi Period, which falls in the late days of Baekje, in the history of calligraphy. For that purpose, the investigator chose two research criteria, which include Nicolai Danilevsky's view of aesthetic history and Munjil(文質:simple and glamorous), an aesthetic concept of Confucianism. Previous studies mainly focused on the analysis of handwriting styles, thus conducting a discussion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culture's influence. Embracing their finding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Sabi Period in Baekje and its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calligraphy.
    The Sabi Period spanned approximately 120 years in the latter half of Baekje, holding a rather short position in the entire history of Baekje. There were several illuminating excavations in recent years including "Changwangmyeongseokjosarigam (昌王銘石造舍利龕)" and "Sataekjijeokbi(砂宅智積碑)," which are letters inscribed in stone, and also some letters inscribed in golden and bronze plates. In addition, a large number of wooden tablets were discovered at many different places including the Gungnam site, completing a rich pool of letter artifacts. It can be understood as a phenomenon usually observed at the end of a dynasty in the view of aesthetic history.
    Baekje formed the Three Kingdoms along with Goguryeo and Shilla, falling in the ancient times, which is the period of Jil(質:glamorous) according to the Munjil(文質) theory. In fact, all of the Three Kingdoms belong to that period, which came before Shilla unified the three kingdoms, directly imported the culture of Tang Dynasty, and started to create a new culture. The calligraphy of the period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at of Unified Shilla Period. The calligraphy styles of the Three Kingdoms held their respective identities and developed from the simple stage to the glamorous one on a gradual path toward standardization, but they remained in the simple stage in the entire history of Korean calligraphy.
    In short, the calligraphy of Baekje belonged to the beginning period in the history of Korean calligraphy and kept its simple letter forms. It became gradually standardized, going through the Wungjin and Sabi Periods. The Three Kingdoms shared the common feature of simple and humble early forms. In addition, there were no records of names of those who wrote the letters during the period. The Sabi Period in the history of Baekje, in particular, exhibited the most sophisticated and refined aspects of the Three Kingdoms by embodying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Baekje people. They set up standardized tombstones and thus established a standardized handwriting style. The period built a solid foundation for the right standardized handwriting style to settle down in Unified Shilla, thus claiming its signific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