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적 배제로 인한 후속 심리 반응이 실용적 제품(vs. 쾌락적 제품)의 상대적 선호에 미치는 효과 : 통제감과 조절 초점을 중심으로 (Effects of Social Exclusion and Resultant Psychological Reaction on Relative Preference for Utilitarian Products(vs. Hedonic Products) : Focusing on Sense of Control and Regulatory Focu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21.07
24P 미리보기
사회적 배제로 인한 후속 심리 반응이 실용적 제품(vs. 쾌락적 제품)의 상대적 선호에 미치는 효과 : 통제감과 조절 초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마케팅관리학회
    · 수록지 정보 : 마케팅관리연구 / 26권 / 3호 / 49 ~ 72페이지
    · 저자명 : 박세훈, 김채영

    초록

    후식으로 초콜릿 케이크와 과일 샐러드 중 무엇을 먹을까? 제품 구매 상황에서 많은 소비자들은 쾌 락적 제품과 실용적 제품을 두고서 선택에 앞서 고민에 빠지곤 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가 유발하 는 다양한 심리적 반응이 이러한 제품 속성의 선호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배제의 소비자들은 실용적 제품이 제공하는 효용을 통해 현재의 불안정한 상태를 해소하리라 예상한다. 따라서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 소비자는 쾌락적 제품보다 실용적 제품을 더 선호할 것이라는 가설1을 설정하였다. 여기서 사회적 배제는 통제감을 약화시키기 때문에 실용적 제품이 통제감을 회복 시키는 보조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고, 또 자신의 안전에 중점을 두는 예방 초점이 활성화되기 때문에 실용적 제품과 조절 적합성이 발생할 것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지각된 통제감(가설2)과 활성화된 조절 초점(가설3)이 가설1의 효과를 매개하는 단일매개변수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뿐만 아니라, 사회적 배제 소비자들의 예방 초점 활성화에 있어 지각된 통제감의 감소가 매개역할을 하리라는 가설4 와, 사회적 배제의 효과는 지각된 통제감과 활성화된 조절 초점을 거쳐 순차적으로 매개되리라는 가설5 를 설정하였다.
    가설들의 검증을 위해 두 번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2개 조건(사회적 포함 vs. 사회적 배제)을 활용하여 참가자들의 지각된 통제감과 실용적 제품(vs. 쾌락적 제품)의 상대적 선호도를 측정 함으로써 가설1과 가설2를 검증하였다. 실험 2에서는 기준집단을 추가한 3개 조건(사회적 포함 vs. 중 립 vs. 사회적 배제)을 활용하였고, 활성화된 조절 초점을 추가로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에서 설정 한 가설1, 가설2, 가설3, 가설4, 가설5를 모두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 는 이론적 시사점 및 실무적 시사점을 밝히고, 연구가 가진 한계점과 이에 따른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 하였다.

    영어초록

    Which one would you choose for your dessert between a piece of chocolate cake and a serving of fruit salad? Consumers are often faced with this kind of choice between hedonic and utilitarian products in their everyday lives. This research investigates how the various psychological responses caused by social exclusion affect the consumers' preferences for hedonic and utilitarian products. Specifically, we predicted that socially excluded consumers will prefer utilitarian products to hedonic products(H1). Social exclusion decreases the sense of control and threatens the feeling of safety, but utilitarian features can help deal with the psychological instabilities. Thus, we also predict that perceived sense of control(H2) and activated regulatory focus(H3) will mediate the effect of social exclusion on relative preference for utilitarian products(vs. hedonic products). Furthermore, the mediating role of decreased sense of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prevention focus was predicted(H4). Building on these prior theoriz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 of social exclusion will be sequentially mediated by perceived sense of control and activated regulatory focus(H5).
    Two experiments are conducted to test our hypotheses. The results of experiment 1, achieved by measuring participants' perceived sense of control and relative preference for utilitarian products(vs. hedonic products) using a one-factor two-level(social inclusion vs. social exclusion) between-subjects design supported H1 and H2. In experiment 2, we used a one-factor three-level(social inclusion vs. neutral vs. social exclusion) between-subjects design including a baseline condition and measured participants' activated regulatory focus in addition to the measurement items of experiment 1. The results confirmed H1, H2, H3, H4, and H5. Finally,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re discussed and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