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배 신품종 ‘창조’의 성숙 중 품질 요인 변화 및 수송온도 환경에 따른 반응성 (Evaluation of the Fruit Quality Indices during Maturation and Ripening and the Influence of Short-term Temperature Management on Shelf-life during Simulated Exportation in ‘Changjo’ Pears (Pyrus pyrif)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7.10
8P 미리보기
배 신품종 ‘창조’의 성숙 중 품질 요인 변화 및 수송온도 환경에 따른 반응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 수록지 정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26권 / 4호 / 378 ~ 385페이지
    · 저자명 : 이욱용, 최진호, 안영직, 천종필

    초록

    국내에서 육성된 중생종 동양배 품종인 ‘창조’는 성숙기간 중 지속적으로 과실이 비대하여 600g대의 편원형과실로 발달하였다. 성숙기간 중 경도는 경시적으로 저하되어 만개 후 153일인 9월 13일에 32.58N으로 조사되었고 만개 후 160일에는 26.44N으로 급격히 경도가저하되었다. 식감과 관련된 품질요인 중 과실의 전분함량은 만개 후 153일에 0.737, 만개 후 160일에 0.451로전분함량이 급속히 감소하였고, 과육의 세포벽함량을 조사하였던 결과, 과실비대가 증가하고 과실성숙의 진행과더불어 알코올불용성물질 함량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과피색차 중 적색도(a*)는 만개 후 139일 이후 양의값을 보여 외관상의 과피녹색 발현이 소실되었는데 과피의 SPAD 값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동일하게 엽록소의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Hue angle 역시 성숙과 연화기간 중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수확시기의 지표로 활용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성숙기간 중 과육 내에 축적되는 당 성분을 분석한 결과, 만개 후 153일에총량이 최대치를 보였는데 전 생육시기에 걸쳐 전체 당성분 중 과당이 우점하고 있었고, 과실성숙도가 높아질수록 자당의 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만개 후 160일에 수확한 과실에서는 자당이 과당을 넘어 우점하여 과숙단계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배 신품종 ‘창조’의 적정수확시기는 만개 후 153일인 9월 13일 이전으로 평가되었고 수확시기를 놓친 경우에는 경도 등 과실의 품질이급격하게 하락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대만 지역 수출을 모의하여 단기수송온도 설정을 위한 수확 후 저온순화 실험을 실시한 결과, 만개 후 146일에 수확한 과실이만개 후 153일에 수확한 과실에 비하여 25oC 유통 후높은 경도를 유지하는 경향을 보였고 최종 수송 목표온도인 5oC로 저하되는 속도가 느릴수록 과육장해의 발생심도 및 에틸렌발생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므로 ‘창조’ 품종에 있어 동남아 지역 수출 시 생리장해 및 과실품질 유지를 위해서는 수확시기를 만개 후 146일 이전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창조’ 배의 목적별 수확시기 결정 및과실의 선별 기술에 일조하고 수출 시장에서의 한국산배의 신인도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changes of fruit quality indices during fruit development and ripening in Korean new pear cultivar ‘Changjo’,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Tama’ and ‘81-1-27’ (‘Danbae’ × ‘Okusankichi’) in 1995 and named in 2009, to determine appropriate harvest time and to enhance the market quality and broaden the cultivation area. The fruits of ‘Changjo’ pears harvested from 132 days after full bloom (DAFB) to 160 DAFB. Fruit growth and quality indices were monitored at 1 week interval by measuring fruit weight, length, diameter, firmness, and taste related quality indices. The calculated fruit fresh weight increased continuously with fruit development and reached to an average of 594g on Sep. 20 (160 DAFB). The ratio of length to diameter declines as fruit maturation progress, resulting in 0.898 for ripe fruit stage as a round oblate shape. Flesh firmness of ‘Changjo’ pears showed over 30N until 153 DAFB and then decreased abruptly with fruit ripening, reaching a final level of about 26.44N on 160 DAFB. Starch content of fruit sap was also decreased abruptly after 146 DAFB which decreased almost half of the fruits harvested at 139 DAFB. In parallel with the decrease of flesh firmness, ethanol insoluble solids (EIS) content decreased sharply with fruit ripens, only 50% of EIS was detected on the fruits harvested on 160 DAFB when compared to that of the fruits harvested on 139 DAFB (Aug. 30). The maximum value of soluble solids contents was observed in the fruits harvested on 153 DAFB, resulting in 14.2oBrix. The changes of skin color difference a* which means loss of green color occurred only after 139 DAFB, coincide with the decrease of SPAD value of the fruit skin.
    The sugars of the 80% ethanol soluble fraction consisted mainly of fructose, sorbitol, glucose and sucrose, also increased during maturation and ripening. Fructose and sucrose contents were larger than those of glucose and sorbitol in flesh tissues. These results were explained that stored starch is converted to soluble sugars during fruit maturation, mainly in fructose and sucrose increasing the sweetness of this cultivar. Total polyphenols were increased up to middle of fruit maturation (146 DAFB) and then decreased continuously until the end of fruit maturation. Consequently, our results suggested that the commercial harvest time of ‘Changjo’ pears should not be passed 153 DAFB and late harvest of this cultivar would not good for quality maintenance during shelf-life. As a result of the post-harvest low-temperature acclimation experiment during the short-term transportation period, fruits harvested at 146 DAFB tended to maintain higher firmness after 14 days of simulated marketing at 25oC compared to fruits harvested at 153 DAFB regardless of temperature set. And, the slower the rate of decrease to the final transport temperature of 5oC, the higher the incidence of internal browning and ethylene production. Therefore, in order to suppress the physiological disorder and to maintain the fruit quality when exporting to Southeast Asia in the ‘Chanjo’ pears, it is desirable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fruits within a short time after harvest and to set the harvest time before 146 days after full bloo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생물환경조절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