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밀착형 다문화모임과 혼입여성의 한국사회 적응 -경북 김천시 ‘나눔공부방’에 대한 민속지적 연구- (Region-based Multicultural Gatherings and Marriage Migrant Women’s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Ethnographic Research on ‘Nanum Study Room’ in Gimcheon, Gyeongbuk-)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8 최종저작일 2017.02
39P 미리보기
지역밀착형 다문화모임과 혼입여성의 한국사회 적응 -경북 김천시 ‘나눔공부방’에 대한 민속지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경국대학교 민속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민속연구 / 34호 / 203 ~ 241페이지
    · 저자명 : 이진교

    초록

    다문화가족 혼입여성에게 부과되는 사회․문화적 압력은 가족과 같은 미시적 수준에서부터 한국사회 전체를 관통하는 부분까지 중층적으로 얽혀 있는 문제임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그녀들의 한국사회 적응은 특정한 사안이나 국면의 문제가 아닌, 사실상 삶의 전 영역과 관계된 것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해 다문화센터와 같은 공적 교육체계의 보완모델로서, 지역밀착형 다문화모임 나눔공부방에 주목했다. 한국사회에서 혼입여성들은 사회적 약자이자 소수자의 위치에 머물러 있으며, 정치․경제․문화적으로도 취약한 상태에 놓여있다. 그녀들은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있으며, 자신들에 대한 부정적 정체성을 스스로가 형성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친정’ 또는 ‘제 2의 친정’으로 일컬어 질 정도로 끈끈한 인간관계와 신뢰감에 기반하며, 혼입여성들에 대한 정서적 지지를 한결같이 보여주고 있는 나눔공부방의 역할과 의미는 문화적으로 매우 주목할 만한 대상이라고 생각한다.
    나눔공부방은 농촌에 위치한 한 가정집을 기반으로 설립․운영 되어왔다. 이러한 입지적 조건은 이 모임 고유의 운영방식과 프로그램 구성 등의 측면에서 여러 가지 장점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일상에서 혼입여성들이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을 때, 이곳은 언제라도 쉽게 찾아올 수 있는 시공간으로 존재해 왔다. 또한 ‘가정집’, ‘농촌’이라는 교육 환경은 그 자체로 매우 구체적이며 실용적인 교재였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혼입여성들은 한국사회 적응에 필요한 경험지식이나 지역지식을 자연스럽게 전수받는 것이 가능했다. 일반 가정집에서의 생활방식이 그대로 연장된 형태로 운영되는 나눔공부방의 프로그램과 수업은, 결과적으로 혼입여성들의 한국문화 이해와 적응에 적지 않게 기여해 왔던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도 이 모임의 혼입여성들은 수동적 입장의 학생이나 단순한 참가자로의 지위에 머무르지 않았으며, 나눔공부방의 운영․존속․유지에 주체적으로 관여해 왔다. 결과적으로 혼입여성들의 입장과 필요에 적절하게 대응하며 발전해 온 나눔공부방은, 그녀들 삶의 전 영역에서 유의미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회적 공신력을 지닌 사회복지관의 행․재정적 지원, 선생 역할을 담당했던 한국인 참여자의 헌신과 노력 그리고 혼입여성들의 주체적인 참여가 적절하게 결합된 형태로 발달해 온 나눔공부방은, 농촌을 배경으로 한 지역밀착형 다문화모임의 한 모델로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Nanum study room, a region-based multicultural gathering, as a model complementing the public education system like a multicultural center. In Korean society, marriage migrant women are positioned as a minority group and as the socially weak, and they are politically, economically, and culturally vulnerable as well. Also, they are psychologically daunted and often end up forming their own identity negatively. In this sense, it seems that Nanum study room has such important roles and meanings culturally as it provides emotional support for marriage migrant women consistently as ‘their home’ or ‘second home’ grounded on intimate relationship as well as trust.
    The Nanum study room has been founded and operated with families located in the farm village as the base. Such locational conditions seem to have worked as strengths in terms of the unique operation of that gathering and organization of the program. Whenever marriage migrant women face any problem in everyday life, this place exists as time and space that they can find just easily. Moreover,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is ‘a family’ or ‘farm village’ itself can be such concrete and utilitarian material for learning. Within that environment, marriage migrant women could acquire folk knowledge and local knowledge they needed to adapt to Korean society naturally. The Nanum study room that has developed coping with marriage migrant women’s positions and needs properly seems to play significant roles today in every area of their lives. The Nanum study room developed as a form of properly combining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rom social welfare centers equipped with public confidence socially, devotion and effort from Korean participants having roles as a teacher, and marriage migrant women’s subjective participation can be suggested as a model of a region-based multicultural gathering having the farm village as its backgrou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