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행 군형사법 체계의 합리적 개선방안 : 군형법의 개정방향을 중심으로 (Reasonable Improvement Plan for the Current Military Criminal Law System in Korea)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3.09
26P 미리보기
현행 군형사법 체계의 합리적 개선방안 : 군형법의 개정방향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테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테러학회보 / 16권 / 3호 / 89 ~ 114페이지
    · 저자명 : 이성대

    초록

    군 사법의 체계와 구성을 규정하고 있는 기본법으로서 군사법원법은 1962년 제정된 군법회의법을 모태로 지금까지 수많은 개정을 거쳐 왔으며, 아직까지 실질적 의미의 변화로는 부족한 부분이 발견되기는 하더라도 비교적 최근의 개정으로 상당한 변화를 가져 왔다. 1962. 1. 20. 자로 제정된 군법회의법부터 기산하면 40여 차례의 개정을 거쳐 온 군사법원법과는 달리 실체법으로서의 군형법은 동일한 시기에 제정되었음에도 개정의 빈도나 내용적 측면을 놓고 볼 때 비교적 완만한 변화를 거쳐 왔을 뿐이다. 이러한 차이는 절차법과 실체법이라는 속성에서 발현하는 부분이 없지 않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그동안 군형법상의 구성요건에 대한 위헌시비를 비롯한 다양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이루어진 개정은 지나치게 소극적이고 실질적 의미를 부여하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많다.
    이와 같이 군사법원법과는 달리 군형법은 실제상 큰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지만, 군 사법에 대한 사회적 불신과 이에 따른 변화의 필요성을 고려할 때 실체법인 군형법의 변화필요성과 그 방향에 대한 모색은 당면한 과제가 되었다. 이 글은 군사법원법의 개정내용과 연계하여군형법의 문제점 또는 개선의 필요성은 없는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군형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나름의 대안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결론적으로 그동안 공감할 수 없는 논거를 기반으로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주장을 일관하고 있는 국방부의 입장을 지지할 수 없으며, 이제 과감한 군형사법 체계의 개혁으로 나아가야 함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 출발점은 실체법인 군형법의 한시법화와 그에 따른 평시 군사법원의 폐지에서 찾아야 한다. 이것이 바로 군 사법체계에 대한 사회일반의 불신을 극복하고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가장 빠른 길이다.

    영어초록

    As a basic law that regulates the system and composition of military justice, the Military Court Act has undergone numerous revisions based on the Military Courts Act enacted in 1962, and when viewed from a larger perspective, changes in practical meaning are still lacking. Although this was discovered, it is also true that relatively recent revisions have brought about significant changes. Unlike the Military Court Act, which has gone through about 40 revisions starting from the Military Court Act enacted on January 20, 1962, the Military Criminal Act, which is a substantive law, has been relatively revised in terms of frequency and content of revision even though it was enacted at the same time. It has gone through a gradual change. This difference can be seen as a natural result of the nature of procedural law and substantive law, but despite various controversies, including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military criminal law's requirements, the actual revisions are too passive and insufficient to give practical meaning. many.
    In this way, unlike the Military Court Act, the Military Criminal Act does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in reality, but considering the social distrust of military justice and the resulting need for change, the immediate task is to explore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change in the Military Criminal Act, which is the substantive law. It has been don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any problems or need for improvement in the Military Criminal Act in connection with the revisions to the Military Court Act, and based on this, to present alternatives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Military Criminal Act. In conclusion, we cannot support the position of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which has consistently argued that it is premature based on arguments that cannot be agreed upon, and emphasized that it is time to move forward with drastic reform of the military criminal justice system. And the starting point should be found in the temporary legalization of the military criminal law, which is a substantive law, and the subsequent abolition of peacetime military courts, through which it was believed that the ultimate liquidation of the peacetime military criminal law system would be possi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테러학회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