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성과 역사 『사랑, 판타지아 L’Amour, la fantasia』, 『외딴방』 비교연구 (Femme et Histoire dans L’Amour, la fantasia et La Chambre solitair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4.09
29P 미리보기
여성과 역사 『사랑, 판타지아 L’Amour, la fantasia』, 『외딴방』 비교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프랑스 문화 연구 / 62권 / 1호 / 165 ~ 193페이지
    · 저자명 : 이송이

    초록

    큰 문화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한국 문학과 프랑스어권 알제리 문학은 서구 문학의 유입을 통한 근대 문학의 형성이라는 공통된 경험으로 인해 특수한 유사점을 보이고 있다. 식민지의 경험과 식민지를 통해 유입된 서구 문학의 체험, 자국의 전통적 가치와 근대화로 규정되는 서구적 가치 사이의 갈등이 두 문학 모두에서 중요한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두 문학 모두, 서구의 장르를 차용하지만 독자적인 방식으로 이를 활용하면서, 서구의 문학 장르에 내재한 문제점을 오히려 폭로하고 있는 특징을 함께 보여준다. 서구의 여러 문학 장르 중 특히 자서전은 한국과 알제리 모두 여성 작가들이 즐겨 받아들였던 장르로 평가되고 있다. 여러 작품들 중, 아시아 제바르의 『사랑, 판타지아』(1984), 신경숙의 『외딴방』(1999)은 서구의 문학 장르를 수용, 전유하면서 새로운 미학을 보여주는 두 나라의 문학의 공통적인 특징을 검증할 수 있는 매우 적절한 예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두 작품에서 ‘나’는 서양의 전통적 자서전에서 나타나듯이 단일하며 절대적인 자아의 견고함을 보여주지 않는다. 두 작품 속에서, 나는 과거와 현재, 사실과 상상의 구분을 사라지게 하며, 이를 통해 전쟁, 폭력적인 정권, 남성중심적인 사회의 희생자가 되었던 수많은 이름 없는 여성들의 목소리로 공명하게 된다. 하지만 서구의 전통적인 문학 장르라는 굴레에서 자전적인 이야기를 이미 해방시킨 두 작가는 서구의 근대적 역사관이라는 굴레에서도 역사를 해방시키려는 시도를 보여준다. 다시 말해, 자전적 서사를 통해 서구의 자서전에 대한 문제점을 오히려 제기하듯이, 『사랑, 판타지아』와 『외딴방』은 이른바 공적인 역사를 인용하면서 서구 근대적 역사관과 역사 서술의 문제점을 함께 제기하고 있다. 두 작품 속에서 일관된 흐름과 목표를 지향하는 통일적인 체계로의 역사, 패권을 중심으로 한 거대담론으로 이루어진 역사는 파편화되며 외부의 시선에 의해 교란된다. 그리고 역사는 서구 근대적 역사에서 주변을 이루는 이들, 즉 여성들이 주체가 되는 이야기로 다시 기록된다.

    영어초록

    Malgré la différence entre leurs pays, les cultures et les langues, la question identitaire et l'inscription de la féminité sont bien mises en scène chez les écrivaines algériennes et coréennes. Le problème identitaire chez elles entraîne souvent un brouillage systématique et une subversion qui résultent finalement comme le refus de la pensée binaire et de celle de l'essentialiste. Beaucoup d'écrivaines algériennes et coréennes s'inscrivent en contre-pied d'une conception occidentale qui oppose le discours littéraire et à celui d’historique. Leurs œuvres deviennent ainsi le lieu où les voix ignorées s'entendent et les lacunes de l'Histoire se comblent. Même si leurs nombreux textes sont enracinés dans l'histoire moderne des deux pays, ils ne respectent pas les dogmes du réalisme et sont exclusifs aux discours hégémoniques. Il semble également que nos écrivaines empruntent seulement cette discipline littéraire occidentale en tant que stratégie visant à une réappropriation consciente de l'identité féminine. C'est qu’elles n'hésitent pas à transgresser les barrières traditionnelles entre les genres en Occident. Refus des formes stables, leurs œuvres dévoilent le lien entre la textualité et la sexualité. L’Amour, la fantasia d’Assia Djebar et La Chambre solitaire de Shin Kyung-sook, en pourraient être un bel exemple. Les œuvres de ces deux écrivaines ont certains points communs. De même que la mémoire occultée chez Djebar subvertit l'Orientalisme de l'occident en Algérie, la mémoire intime chez Shin Kyung-sook dénonce le fictif dans les discours idéologiques et nationalistes. Toutes ces auteures errent entre les frontières des genres fixés par la classification occidentale, pour la recherche d'une voix féminine. Comme la critique les définit comme 《autobiographie collective》, les textes djebariens permettent aux femmes analphabètes de recouvrer leur voix. Chez Shin Kyung-sook, l’oscillation entre les différentes voix et la transgression des codes traditionnels de la narration permettent de dévoiler la mémoire enfouie et silencieuse dans l'oubli, c'est-à-dire l'histoire réprimée des fem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프랑스 문화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