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원숭이형 청자문방용구에 대한 시론(試論) (The Reconsideration of Goryeo Stationery Celadon in the form of Monke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9.11
34P 미리보기
고려시대 원숭이형 청자문방용구에 대한 시론(試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민속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민속학연구 / 45호 / 121 ~ 154페이지
    · 저자명 : 오영인

    초록

    본 논문은 고려시대 청자문방용구의 소재로 원숭이가 선택된 배경과 관련하여 기존 원숭이 관련 고사를 비롯해 12세기 고려에서 새로운 이념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성수(聖宿)신앙에 주목하여 구체적인 규명을 시도한 글이다. 이를 위해 원숭이형 청자문방용구의 제작과 사용양상을 밝히고, 당시 중국 원숭이형 도자기의 제작실태를 확인하는 동시에 고려 문인들의 원숭이와 문방용구에 대한 인식 그리고 왕실에서 진행된 의례와 성수신앙의 도상을 살펴보았다.
    원숭이형 청자문방용구는 고려 왕실, 귀족, 문인 등 상위계층이 사용할 것을 염두하여 제작된 고급기물이었다. 원숭이는 다양한 기종으로 형상화되었던 여타의 소재와 달리 연적과 묵호, 인장과 향꽂이처럼 책상에 두어 사용하거나 감상하는 문방용구에 한해 청자의 소재로 선택되었다. 일반적으로 원숭이의 상징은 길상과 모성애로 이해되어왔으나 문방용구의 소재에 한해 원숭이가 선택된 배경을 충족시키지 못했다. 대신, 고려에서 새로운 이념으로 주목받은 성수신앙의 도상에서 원숭이의 표현이 확인되어 보다 객관적인 비교와 영향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당시 성수신앙의 구요 중에서 수요는 붓과 종이를 가지고 원숭이 관을 쓰거나 원숭이를 머리에 올리고, 곁에 둔 모습으로 고려인들에게 받아들여졌다. 고려인들은 문방용구를 지물로 삼고 원숭이를 동반하는 수요의 특징을 인지하였고, 온화함이나 지혜를 뜻하는 수요의 상징은 정형화되어 수요의 지물과 원숭이가 고려청자의 기종과 소재로 변모할 수 있게 하였다. 즉, 고려에서 원숭이형 청자문방용구는 ‘수요=학문(문방용구)=원숭이’의 관계가 차용되어 원숭이 관련 길상 혹은 고사의 내용을 반영한 도상으로 제작되었고, 학문을 위한 공간에서 실용품이자 완상품으로 기능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s out to investigate Taoism and Constellation with regard to manufacturing background of Goryeo stationery celadon in the form of Monkey in 12th Century. For that purpose, it determined aspect of production and use Goryeo stationery celadon in the form of Monkey, took note of Chinese porcelain production conditions and the symbol of Constellation with Taoism rituals in the Goryeo Dynasty.
    Goryeo stationery celadon in the form of Monkey was object of high rank for the upper classes in 12th Century. Unusually, Monkey was properly selected material limited stationery as the four precious things of the study, used or appreciated. On the one hand, Monkey was material to accompany with Mercury(水曜) one of Navagraha(九曜) in Constellation faith received attention in 12th-century Goryeo Dynasty. Mercury(水曜) was depicted to hold paper and brush, to wear a hat decorated with monkey or to have a monkey by one. Korean recognized its own characteristics, Mercury(水曜) embodied gentleness and wisdom, which potentiated its belongings to stationery celadon in the form Monkey. In short, Goryeo stationery celadon in the form of Monkey was used as practical tools for study, preferred collections symbolic of Mercury(水曜).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속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