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밧티카뱌(Bhaṭṭikāvya)』의 카라카 관련 詩節(Kārakādhikara) 8.70-72의 분석·고찰 (Illustrations of apādāna-kāraka by Bhaṭṭi in the Bhaṭṭikāvya)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4.02
33P 미리보기
『밧티카뱌(Bhaṭṭikāvya)』의 카라카 관련 詩節(Kārakādhikara) 8.70-72의 분석·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41호 / 423 ~ 455페이지
    · 저자명 : 김현덕

    초록

    인도에는 문법 규칙들을 예증하는 문학작품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작품들은 후대에 카뱌 샤스트라(kāvya-śāstra)라고 불리게 되는데, 『밧티카뱌(Bhaṭṭikāvya)』는 그 선구라고 할 수 있는 시 작품이다. 시인이자 문법가인 밧티(Bhaṭṭi)가 대서사시 『라마야나(Rāmāyaṇa)』를 소재로 하여 ‘파니니문법(Aṣṭādhyāyī)을 예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저술한 이 작품은, 일종의 ‘문법학 용례집’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자는 22장 1600여송으로 이루어진 이 작품의 제8장 70-84송에서 P. 1.4.23-55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6種의 카라카(kāraka)를 예증하고 있다. 문장에서 동사와 연결되어 동사의 의미를 완성시키도록 돕는 역할을 담당하는 카라카 중에서 가장 먼저 예증되고 있는 것은 아파다나 카라카(apādāna-kāraka)이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분리’를 나타내며, 문장에서 표시되는 경우에는 ‘제5격 어미’를 취한다. ‘범어문장 이해’라는 큰 틀 속에서, 후대 문법가들에 의해 문법서로서의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이러한 ‘용례집’들에 대한 연구는 ‘파니니문법을 중축으로 한 고전범어’ 이해의 길잡이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영어초록

    Bhaṭṭi’s poem is a prominent Mahā-kāvya in the history of Sanskrit literature. The source of this work is the Rāmāyaṇa. Bhaṭṭi has avoided the detailed descriptions and the inter-related stories which are to be found in the Rāmāyaṇa. He reduced this work to about 1600 verses.
    It’s original name is Rāvaṇa-vadha, but well known as Bhaṭṭi-kāvya. Bhaṭṭi did not compose his work with the intention of presenting Rāma’s legend, but also to illustrate grammatical and poetic rules. The latter is the main object of him. His intense knowledge of grammar can be observed from the fact that he not only made an effort to blend grammar with his Mahā-kāvya without destroying the spirit of the latter but also became an authority in the field of grammar. He is frequently quoted by later grammarians as an authority on the controversial grammatical usages. So it considered as the most famous Kāvya-śāstra.
    The Bhaṭṭi-kāvya is divided in four kāṇḍas. Those are the prakīrṇa, adhikāra, prasanna, tiṅanta kāṇḍas. In this paper, I examined kāraka, expecially apādāna-kāraka which express the meaning of ‘ablative’ in the sentence, and takes ‘pañcamī’, illustrated in the Adhikāra-kāṇḍa(Chapter 8).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조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