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주비빔밥의 사회적 부각과고급화 과정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 of Jeonju Bibimbab’s bringing into relief and being sophisticated)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3.11
33P 미리보기
전주비빔밥의 사회적 부각과고급화 과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속학 / 58권 / 235 ~ 267페이지
    · 저자명 : 양미경

    초록

    이 연구는 전주지역의 향토음식인 비빔밥이 고급화 과정을 거쳐 ‘전주비빔밥’으로 재구성되는 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먼저, 시장음식으로 출발한 비빔밥이 전문식당가의 외식메뉴로 편입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흔히 오래된 전통음식으로 인식되어 왔던 전주비빔밥이 사실은 1960~70년대에 ‘발명’되었음을 밝혔다.
    다음으로, 각각의 업소에서 전주비빔밥이 재구성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각 식당들은 시장에서 판매되는 비빔밥과 구분하기 위해 비빔밥의 재료․조리법․용기를 고급화 하였고, 그 과정에서 오늘날과 같은 전주비빔밥이 생겨났다. 그러므로 전주비빔밥은 식당 주인들 사이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피어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발명된 전주비빔밥은 1970년대에 서울로 전파되고 전국화 되기에 이르는데, 여기에는 백화점의 마케팅 전략을 비롯하여 당시 한국사회의 정치․사회․경제적 흐름이 영향을 미쳤다. 이 과정에서 사회적으로 크게 부각된 전주비빔밥은 전주라는 도시의 지역 이미지와 결합하여 역사성․전통성의 지위를 확보하였고, 아울러 지역정체성을 획득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전주비빔밥을 상품화․세계화 하려는 경향은 지역사회와 지역주민으로부터 전주비빔밥을 탈맥락화 하고, 조리법을 표준화함으로써 전주비빔밥을 획일화 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영어초록

    This thesis aims to find out the process that Bibimbab, local specialty of Jeonju, has been recomposed to Jeonju Bibimbab by upgrading. First, I look into the process that Bibimbab which was sold in the marketplace has been included to a menu of restaurants. Thus I find out that Jeonju Bibimbab which is considered as a traditional food was invented during the 1960's and 1970's.
    And then, I look at the process that Jeonju Bibimbab has been recomposed at the each restaurant. Each restaurant gentrified the ingridients, recipe, and vessel of Bibimbab to distinguish itself from that sold in the marketplace. And Jeonju Bibimbab was invented as the result. So Jeonju Bibimbab is a product of close competition among the restaurants' owners.
    Jeonju Bibimbab was known to not only Seoul, but also the whole country in the 1970's, which was influenced by th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 in those days as well as the marketing strategy of department store. Meanwhile, Jeonju Bibimbab made sure of its position in an aspect of historicity and traditionality and made an acquisition of local identity by combining with the city image of Jeonju. However, Jeonju Bibimbab has been tried to commercialize and globalize since 1990's, which has caused the local residents to stay off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