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성중심 역사서술의 대항담론으로서 문학적 증언: 동시대 여성가족사소설 『시선으로부터,』와 『밝은 밤』을 중심으로 (Literary Testimony as a Counter-Discourse to Male-Centered Historiography: Focusing on the Contemporary Women's Family History Novels of From Si Sun and A Bright Night)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3.12
30P 미리보기
남성중심 역사서술의 대항담론으로서 문학적 증언: 동시대 여성가족사소설 『시선으로부터,』와 『밝은 밤』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젠더와 문화 / 16권 / 2호 / 91 ~ 120페이지
    · 저자명 : 이채원

    초록

    본고에서는 동시대 여성가족사 소설 『시선으로부터,』와 『밝은 밤』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현대사와 현재의 사회문화를 진단한다. 두 소설 모두 반복되는 폭력의 구조를 성찰하고 폭력과 야만에 맞서는 여성들의 우애를 섬세하게 서술하며 미래에 대한 전망을 제시한다. 저자 정세랑과 최은영 모두 역사서술에서 배제된 여성들의 이야기를 복원하는 것에 대해 작가로서의 책임감을 보인다. 또한 치유와 구원과 성장으로 이어지는 여성들의 연대에 깊은 신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두 소설 모두 텍스트 층층에 페미니즘의 가치가 촘촘하게 박혀있다. 한편 두 텍스트는 남성인물 형상화와 시점에서 차이를 보이고 이로 인해 두 소설은 상당히 다른 분위기를 형성한다. 서술전략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텍스트 모두 현실을 응시하며 여성사의 진보를 인식하고 나아가는 리얼리즘의 태도를 견지한다. 이는 현실세계의 사회문화 속에서 동일한 문제의식을 공유하지만 다른 전략으로 현실에 대응하며 이상(理想)으로 나아가는 사람들에 대한 해석으로도 유용하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focuses on two contemporary women’s family history novels, From Si Sun and A Bright Night, to explor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modern Korean history reflected in those works. Both novels shared the structure of repeated violence, describe the friendship of women against violence and barbarism, and also present their prospects for the future. The authors, Jung Se-rang and Choi Eun-young, display a sense of authorial responsibility in the restoration of the stories of women who have been excluded from historical narratives and also demonstrate the construction of deep trust and solidarity among women, encompassing the states of healing, redemption, and growth. The novels therefore show feminist values embedded in the multiple layers of the narratives. Meanwhile, the two novels are distinct in terms of male characterization and perspective, which creates a very different atmosphere in each text. Despite the difference in narrative strategies, both texts contain the elements of realism that embodies historical reality and suggest the progress of women’s history. These novels therefore function as an interpretational tool for the people who share the same critical mind against the social culture of the real world and respond to reality with different strategies to move toward ide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