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권총과 제복의 남성 판타지, 해방기 ‘경찰영화’ 연구 : <수우>, <밤의 태양>, <여명>(1948)을 중심으로 (A Study on ‘Police Film’ as Male Fantasy of Pistol and Uniform in the Liberation Period : Focused on , and (1948))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5.11
37P 미리보기
권총과 제복의 남성 판타지, 해방기 ‘경찰영화’ 연구 : &lt;수우&gt;, &lt;밤의 태양&gt;, &lt;여명&gt;(1948)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현대영화연구 / 11권 / 3호 / 69 ~ 105페이지
    · 저자명 : 전지니

    초록

    본고는 1948년 단정을 전후해 개봉된 ‘경찰영화’의 기획과 영화의 관습적 특성 및 개봉 후 빚어진 일련의 논란을 분석함으로써, 종전 이후 민족영화를 표방하고 제작된 선전영화의 문제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해방 이후 휴전에 이르기까지의 8년 간은 경찰이 극우 국가체제의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했고, 강력한 통제장치들을 국민에게 적용시키는 데 핵심적 역할을 맡았다는 점에서 ‘경찰국가’ 시기로 간주된다. 당시 경찰영화로 명명된 세 편의 영화 <수우>, <밤의 태양>, <여명>은 해방 이후 새로운 통치주체로 지목된 ‘민주경찰’의 적극적인 후원을 받아 제작됐다.
    경찰영화는 건국도상에서 경찰의 통치 방식에 대한 관객 대중의 암묵적 동의를 이끌어내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를 위해 세 영화에는 해방기의 도덕적 타락상을 대변하는 밀수꾼-모리배가 등장하며, 이들을 처단하는 경찰의 권위를 보여주는 도구로 피스톨이 부각된다. 극 중 피스톨은 영화 속 볼거리를 마련하는 동시에 남성들의 세계에 대한 상징이 되며, 영화는 모리배의 소굴인 암흑가를 묘사하는 과정에서 당대 인기를 끌었던 헐리우드 갱스터 영화를 모방하게 됐다. 이와 함께 남성들의 세계에서 희생양이 되거나 경찰의 구원을 받는 여성 인물을 묘사할 때는 식민지시기 가족 멜로드라마의 공식을 따랐다. 피스톨과 함께 경찰의 권위를 보여주는 또 다른 도구는 경찰 제복이었다. 경찰영화는 경찰복을 입은 청년과 이들에게 구제되는 여성들의 이야기를 다루었는데, 이는 일제말기 군국주의 영화의 선전방식과 매우 흡사한 것이기도 했다.
    과거 선전영화의 형식을 답습하고 있다는 비판 및 영화에 대한 관객의 외면은, 피스톨과 제복이라는 이미지에 강박된 경찰영화에 대한 당연한 반응이기도 했다. 극 중 경찰이 함부로 제복을 벗을 수 없었던 것처럼, 영화는 경찰기관을 넘어서는 상상력을 발휘할 수 없었던 것이다. 이처럼 경찰영화는 선전영화와 헐리우드 영화, 그리고 대중극의 특징이 조합된 특수한 시대적 산물이었으며, 그 안에는 현실성과 개연성을 상실한 이야기와 인물들이 놓여 있었다. 경찰영화는 이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조합이 빚어내는 불협화음을 생생하게 노출함으로써, 왜곡된 시대에 예술이 존재하는 방식을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aims to examine a series of process for ‘police films’ released around 1948, from planning and production to release, in an effort to shed light on problems with the propaganda films that were produced as the so-called national movies after the end of the war. Three movies called police films, which were <Su-u>, <Bam-ui tae-yang>, <Yeomyong>, were produced under the sponsorship of "the democratic police" that was emerging as a new main agent of ruling after liberation.
    The intent of the police films was to obtain implicit consent from the public, which were viewers, about the ruling method of the police. Smugglers and profiteers who represented moral corruption in the liberation period were the characters of the three movies, and pistols were highlighted as a tool to show the authority of the police as a punisher of them. Pistols were one of the attractions of the films and the symbol of the men's world. The movies imitated contemporary popular Hollywood gangster films in the course of describing the underworld that was the den of profiteers. And the formula of family dramas or melodramas in the colonial period was adopted when female characters who were saved by the police were described. Another instrument to show the authority of the police was police uniform. The movies dealt with young people wearing police uniforms and women who were saved by them, and that was quite similar to the pattern of militaristic propaganda movies at the end of Japanese occupation.
    Indeed, the police films were unique products of the day into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propaganda films, Hollywood movies and popular dramas were all combined, and their stories and characters were devoid of reality and probability. There were unavoidable, graphic discord in the police films, which was triggered by such an ill-assorted combination, and they were good examples to show the way the arts existed in the distorted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