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원우 동시 「세 발 달린 황소」 연구 – 정수민 동화 「세 발 달린 황소」와의 비교 – (A Study of Lee Wonwoo’s Children’s Poem Titled 「The Three–legged Bull」– Comparison with Jeong Soomin’s fairy tale titled 「The Three–legged Bull」)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24.06
34P 미리보기
이원우 동시 「세 발 달린 황소」 연구 – 정수민 동화 「세 발 달린 황소」와의 비교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아동청소년문학연구 / 34호 / 237 ~ 270페이지
    · 저자명 : 원종찬

    초록

    일제강점기에 ‘세 발 달린 황소’라는 제목으로 두 개의 작품이 존재한다. 하나는 이원 우의동시「세발달린황소」이고, 다른하나는정수민의동화「세발달린황소」다. 이 중 정수민의 동화 「세 발 달린 황소」는 1999년 ‘겨레아동문학선집’에 수록된 이래 한국 아동문학의 대표작 중 하나로 자리를 잡았다. 하지만 카프 작가 이원우의 동시 「세 발 달린 황소」는 ‘겨레아동문학선집’에 빠져 있을 뿐만 아니라, 지금에 이르도록 학계에서조차 별로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실상 정수민 동화는 이원우 동시의 개작에 속한다. 하지만 원작에도 미치지 못하는 진부한 교훈적 생활동화로 탈바꿈했다. 이원우의 「세 발 달린 황소」는 ‘기−승−전−결’ 의 서사를 내포한 동화시로 볼 수 있다. 시적 화자인 가난한 칠성이가 그림 속 ‘세 발 달린 황소’에 가탁해서 억울한 사연을 풀고 의지를 피력하는 결말인 데다 환상의 스토리 를품고있어서동화와같은극적효과를빚는다. 하지만정수민의「세발달린황소」는 이원우 동시에서 기본 모티프만 가져왔을 따름이지 원작의 전복적 해결 대신에 동무끼 리의 친교를 강조하는 통속적・작위적 해결로 나아갔다. 이원우 동시의 칠성이는 동화적 상상을 통해 ‘불의에 맞서는 성난 황소’로 거듭나 있는 반면에 정수민 동화의 칠성이는 가난하지만 남을 잘 돕는 그저 ‘착한 어린이’에 지나지 않는다.
    정수민 동화가 이원우 동시의 단순 개작은 아니다. 차라리 원작의 분위기와 성격, 스토리와 주제의식을 그대로 살려냈더라면 좋았을 텐데 결말의 변형으로 단점이 한층 불거진 모습이다. 명실공히 대표 작가・작품 선집에 값하려면, 이원우 동시 「세 발 달린 황소」는 들어가고 정수민 동화 「세 발 달린 황소」는 빠져야 걸맞다. 카프 작가 이원우의 계급주의 동시에 대한 보다 폭넓은 조명이 필요하다고 본다.

    영어초록

    Two pieces were written by the title of ‘The Three–legged Bull’ during the Japanese Imperial Rule: one was Lee Wonwoo’s children’s poem and the other was Jeong Soomin’s fairy tale. Jung’s fairy tale, since it was published in ‘Korean Children’s Literature Collection’ in 1999, has become one of the major pieces of children’s literature. However, Lee’s children’s poem was not published in ‘Korean Children’s Literature Collection’ and is still not attracting any attention in the academic sector today.
    Jeong Soomin’s fairy tale is actually a kind of remake of Lee Wonwoo’s children’s poem, but it ended up being a fairy tale with a banal lesson. Lee’s poem has four verses: ‘Introduction−development−turn−conclusion.’ The poetic speaker, the poor Chilseong, uses ‘the three–legged bull’ in a picture to resolve un unfair situation and bolster his determination in the end. The story carries a fairy tale–like dramatic effect, so it creates a fantastical narrative. However, Jung’s fairy tale only borrowed a motif from Lee’s poem and drew a common and unnatural conclusion to stress friendship. Chilseong in Lee’s poem adopts fairy tale–like imagination to confront injustice as an angry bull, whereas Chilseong in Jeong’s fairy tale is just a poor but helpful child.
    June’s fairy tale is not just a remake of Lee’s poem. It should have kept the original piece’s mood, character, plot, and theme, but it even highlighted the weakness by altering the conclusion. As a reputable collection of leading writers and pieces, it should have included Lee’s children’s poem 「The Three–legged Bull 」 and removed Jeong’s fairy tale 「The Three–legged Bull」. It is necessary to re– evaluate the worth of Lee Wonwoo from the Japanese Imperial Ru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동청소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