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윤리의 생물학화 : 자연주의적 오류와 반자연주의적 오류를 넘어서 (Biologicization of Ethics: Beyond Naturalistic Fallacy and Counter-Naturalistic Fallac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7 최종저작일 2015.09
30P 미리보기
윤리의 생물학화 : 자연주의적 오류와 반자연주의적 오류를 넘어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윤리학회
    · 수록지 정보 : 倫理硏究 / 1권 / 103호 / 1 ~ 30페이지
    · 저자명 : 류지한

    초록

    다윈의 진화론에 의해 서막을 올린 윤리의 생물학화 시도는 스펜서에 의해 사회적 다윈주의로 이어졌다. 그러나 19세기의 윤리의 생물학화 시도는 무어가 제기한 자연주의적 오류 논증에 의해 사실상 폐기된 연구 프로그램이 되었다. 20세기에 들어서 윌슨은 사회생물학을 바탕으로 윤리의 생물학화를 시도한다. 윌슨은 윤* 이 논문은 2015학년도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에서 동일한 제목으로 발표된 논문을 수정․보완한 것임.
    2 윤리연구 제103호리의 생물학화를 통해서 윤리의 기원과 발달을 진화적으로 해명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윤리 규범을 평가하고 새로운 윤리 규범을 도출한다. 나아가 윌슨은 무어의 ‘자연주의적 오류론’ 자체가 오류라고 비판한다. 윌슨의 비판은 무어의 비자연주의를 논박하는 데는 성공하였으나, 흄의 법칙을 넘어서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자연적 사실과 도덕 규범이 무관할 것이라고 가정하는 것은 역으로 ‘반자연주의적오류’를 범하는 것이다. 윤리의 생물학화의 가장 중요한 이론적 과제는 자연주의적오류와 반자연주의적 오류를 넘어서 현대 과학-정합적인 윤리학, 특히 생물학-정합적인 윤리학을 정립하는 것이다. 레이첼즈는 흄의 법칙에 대한 보다 온건한 접근 방법으로 귀추법을 제안한다. 귀추적 추리에 의해서 ‘사실/존재’와 ‘가치/당위’는논리적 함의 관계가 아니라 ‘증거’ 또는 ‘지지’ 근거의 실제적 관계를 형성한다

    영어초록

    Charles Darwin made an attempt to study the biologicization of ethics on the basis of his own theory of evolution. Darwin’s attempt to biologicize ethics was led to social Darwinism which H. Spencer ardently espoused. However, the study for the biologicization of ethics in the 19th century was criticized for committing the ‘naturalistic fallacy’ by G. E. Moore. As a result, the research program was actually regarded as discarded. In the 20th century, E. O. Wilson tried again the biologicization of ethics on the basis of sociobiology. Wilson attempts to explain the biological origin and development of morality, to evaluate the traditional ethical norms, and to produce the new ethical norms by means of sociobiology. Furthermore, he criticizes Moore’s theory of naturalistic fallacy itself as an error. However, though Wilson may succeed in refuting Moore’s non-naturalism, he fail to overcome Hume’s Law. On the other hand, the ethical theories which presume that moral norms are irrelevant to natural facts commit the ‘counter-naturalistic fallacy’. The most important theoretical challenge for biologicization of ethics is to establish modern science-coherent ethics, especially biology-coherent ethics beyond naturalistic fallacy and counter-naturalistic fallacy. J. Rachels propose abduction as a moderate approach to Hume’s Law. According to Rachels, fact/‘is’ can not logically entail value/‘ought’, but evidence or support value/‘ought’ by abductive reaso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倫理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