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훈민정음』의 신화성과 반신화성 - 도상성을 중심으로 (Mythicality and Anti-mythicality of Hunminjeongeum)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8.03
25P 미리보기
『훈민정음』의 신화성과 반신화성 - 도상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호학회
    · 수록지 정보 : 기호학 연구 / 54권 / 93 ~ 117페이지
    · 저자명 : 송효섭

    초록

    『훈민정음』 해례본에는 훈민정음이 창제되는 과정이 기술되어 있는데, 거기에는 기표가 지시물을 나타내는 기호작용의 법칙이 드러난다. 이 글에서 필자는 기표와 지시물 간의 도상적 관계에 주목하여, 이에 작용하는 신화적 유형과 반신화적 유형에 대해고찰하고자 한다.
    신화적 유형은 당시의 지식층의 사유를 지배했던 음양오행과 천지인 삼재의 원리로나타난다. 이러한 원리에 군주의 절대적 권력이 결합하여, 그것은 더 이상 논박 가능한로고스가 아닌 절대적 믿음의 대상인 뮈토스가 된다. 그것은 매우 형이상학적이며 또한거대서사를 감추고 있다. 그것은 과거로부터 이어져온 목소리이며, 또한 지역적으로는중국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그것이 훈민정음의 소리(글자) 체계에 그대로 반영된다.
    그러나 한편으로 훈민정음의 도상기호의 생성에는 반신화적 유형이 개입되기도 한다. 훈민정음은 절대적 권력을 가진 세종이라는 군주의 기획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지만, 그 의도가 매우 계몽적이며 실용적이다. 그것은 과거의 문제가 아닌 당대의 문제이며, 특정 권력 계층이 아닌 일반 계층에 대한 수혜의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당대의 실제적 상황에서 기획되고 진행된 것이라는 점에서, 그것은 로고스에 해당하는 것이다. 실제로 최만리 등과의 담론적 투쟁도 있었는데, 이는 훈민정음이 로고스적 인식에 의해 창제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무엇보다도 훈민정음의 도상기호에서지시물은 인간의 발성기관인데, 이는 그 도상기호가 ‘몸으로부터 나온 소리는 그 몸과닮는다’는 실제적인 지표성을 함의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신화적 유형에 지배된 형이상학이나 거대서사가 해체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이후, 훈민정음은 그것이 쓰이는 순간부터, 그것이 기댔던 형이상학이나 거대서사의 뮈토스가 해체되고, 백성들을 편케 하는 실용적 기호로서 무한한 가능성을 발휘하게 된다. 오늘날 우리가 한글을 통해 구현할 수 있는 문화적 가능성은 끊임없이 생성되는 뮈토스에 대한 이러한 로고스의 해체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rocess of creating Hunminjeongeum described in Haerye version of Hunminjeongeum shows a rule of signification by which a signifiant represents a referent. In this article, I will suggest two types, the mythical and the anti-mythical, that affect the iconic relation between signifiant and referent, and consider how they are realized in Hunminjeongeum.
    The mythical type is shown as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and Three Elements Theory of Heaven, Earth and Man dominating the thought of intellectuals at that time. It had became mythos, that is the object of absolute belief, by connecting with the power of King at that time. It is very metaphysical and involves a kind of grand narrative. It is also the voice from the past in time and from China in space. It is reflected in Hunminjeongeum’s letter system intactly.
    Meanwhile, the anti-mythical type also affects the creation of Icon in Hunminjeongeum. Even if Hunminjeongeum had been created from King Sejong’s project, its intention seemed to be educational and practical. That is the problem of that time, not of past time, and for common class, not for ruling class. It can be considered as logos in that it had been planned and processed at a real-life situation at that time. Some arguments between King Sejong and liege Choi, Manri about the validity of Hunminjeongeum also show that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 had involved the problem of critical logos. Above all, in that referents of Icons of Hunminjeongeum are the figures of human vocal organs, we can suggest that these Icons also implied an Indexicality implying actual connection between voice and body. It can be considered as a deconstrucion of metaphysics and grand narrative that had been dominated by foresaid mythical type.
    Hereafter, from time when Hunminjeongeum have been widely used,mythos of metaphysics and grand narrative that had dominated Hunminjeongeum have been deconstructed and Hunminjeongeum has become to realize its potential competence of pragmatic sign system for the convenience of common people. Therefore, I expect that the cultural potentiality of Hangul today can be realized by such tendency of logos incessantly deconstructing mythos, that is one direction of mythosemio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호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