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 ‘反간첩영화’에 나타난 냉전 이미지와 냉전형 인간 (Cold War Human and the Cold War Imagery in North Korean “Counterespionage Films”)

5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7.08
55P 미리보기
북한 ‘反간첩영화’에 나타난 냉전 이미지와 냉전형 인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현대북한연구 / 20권 / 2호 / 38 ~ 92페이지
    · 저자명 : 이하나

    초록

    이 글은 북한 ‘반간첩영화’의 냉전 이미지와 인물 형상화를 통해 냉전을바라보는 북한 사회의 인식이 어떻게 구성되고 변화되어 왔으며, 이러한냉전의 시청각화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무엇인지를 분석한글이다. ‘반간첩영화’란 북한 사회 내부에 침투한 ‘敵간첩’을 색출해 내어분쇄하는 북한 안전요원들과 인민들의 정탐활동을 그린 영화이다. 이 글에서 분석한 ‘반간첩영화’는 <끝나지 않은 전투>(1957), <위험한 순간>(1958), <정각 9시>(1959), <보이지 않는 전선>(1965), <매화꽃은 떨어졌다>(1970), <숨길 수 없는 정체>(1970>, <검은 장미>(1973), <또 다시 이어진 사건>(1982), <어느 한 해안도시에서>(1988), <방패 1, 2> (1994), <조난>(2009), <미결건은 없다>(2011) 등 총 12편이다. ‘반간첩영화’가 창출한 냉전의 전형적 인물들은 의인화된 냉전을 표상하는 ‘냉전형 인간’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은 ① 산업스파이와 산업전사, ② 적간첩과반탐요원, ③ 반혁명의 자손들과 혁명의 계승자들, ④ 이중간첩 등으로유형화되며, 각각 ① 근대화 경쟁으로서의 냉전, ② 반미/반제 투쟁으로서의 냉전, ③ 정통성 경쟁으로서의 냉전, ④ 끝나지 않은 혁명 투쟁으로서의 신냉전을 상징한다. 노동자, 투쟁 전사, 각성하는 인간이 결합된 싸우면서 일하는 ‘냉전형 인간’의 창출은 남북 체제가 공통적으로 원했던인간상으로서 냉전/분단을 공모한다. 북한에서 사회주의 교양으로서의 의미를 가지는 ‘반간첩영화’의 냉전인식은 항상 미제의 침략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수세적이고 방어적이며, 냉전이 과잉된 형태로 지역화하는 한반도에서 과잉방어 프로파간다로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최근의‘반간첩영화’들은 세계 자본주의에 둘러싸인 사회주의의 마지막 진지로서의 북한 현실에 대한 지성의 비관과 의지의 낙관이 교차하는 모습을보여주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how North Korean society’s perception of the Cold War was constructed and changed through the depiction of Cold War imagery and the Cold War human in North Korean “counterespionage films,” and what message these representations of the Cold War sought to convey. “Counterespionage films” portrayed the counterespionage activities of North Korean security agents and civilians tracking down and annihilating “enemy spies” that infiltrated North Korean society. The paper discusses a total oftwelve films: Kkŭnnaji anŭn chŏnt’u(The Unending Battle, 1957), Wihŏmhan sun’gan(The Dangerous Moment, 1958), Chŏnggang9shi(9 o’Clock, 1959), Poiji annŭn chŏnsŏn(The Unseen Front, 1965), Maehwakkoch’ŭn ttŏrŏjyŏtta(The Plum Blossoms Have Fallen, 1970), Sumgil su ŏmnŭn chŏngch’e(The Disclosed Identity, 1970), Kŏmŭn changmi(Black Rose, 1973), Tto tashiiŏjin sagŏn(Another Incident, 1982), Ŏnŭ han haeandoshiesŏ(In a City by the Sea, 1988), Pangp’ae 1, 2(Shield 1, 2, 1994), Chonan(Distress, 2009), Migyŏlgŏnŭnŏpta (Nothing Left Unsettled, 2011). “Counterespionage” films applied core elements of North Korean literary theory such as seed theory, speed battle(accelerated combat), social realism, and Juche realism to portray the Cold War and Cold War human, and clearly juxtaposed images of peace with children, women, the suburbs, and lyrical folk songs with Cold War imagery of conflagrations, bombing, destruction, and death. The model figures of the Cold War produced by these films personified the Cold War, which this paper labels as “Cold War humans.” These were categorized as follows: (1) industrial spy and industrial soldier, (2) enemy spy and counterespionage agent, (3) descendants of counterrevolutionaries and revolutionaries, (4) and double agents which symbolized the Cold War as (1) a competition to achieve modernization, (2) an anti-American/anti-imperialist struggle, (3) a contest for legitimacy and the advanced Cold War as (4) unending revolutionary struggle respectively. The creation of the “Cold War human,” a persona combining the laborer, warrior, and enlightened human that works and fights and is desired by both the South and North Korean regimes, colludes in perpetuating the Cold War/national division. These films, which were a significant part of socialist culture in North Korea, were defensive in their perception of the Cold War as the invasion of US imperialism and were quite probably used as excessive self-defense propaganda on the Korean peninsula where the Cold War became extremely regionalized. The latest “counterespionage films” depict both an intellectual pessimism and optimistic will about North Korea’s current situation as the last stronghold of socialism under the assault of world capit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북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