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 중 반도체 산업 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orea-China Semiconductor Industry Cooperation Measures)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3.12
11P 미리보기
한 중 반도체 산업 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영컨설팅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영컨설팅연구 / 23권 / 6호 / 235 ~ 245페이지
    · 저자명 : 유관령, 이태희

    초록

    반도체 산업은 ‘제조업의 뇌’라고 불리고 있는 만큼 한 국가에 매우 중요한 산업이다. 국가경쟁력의 중요한 무기인 반도체 산업은 글로벌 경제통합과 디지털 경쟁에서 국가의 위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반도체 산업은 현대경제사회의 발전을 뒷받침하는 전략적, 기본적, 선도적 산업이며, 새로운 기술혁명과 산업변혁을 주도하는 핵심 동력이다. 그리고 반도체 산업은 다른 산업과 달리 기술 장벽이 매우 높은 산업으로,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국가 경제에서 디지털 경제의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반도체 제품의 적용 범위는 점점 더 넓어질 것이다. 한국은 메모리 반도체 기술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일본의 경우는 반도체의 소부장 (소재,부품,장비) 분야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유럽은 전력 반도체 및 마이크로컨트롤러 분야에서 강력한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중국 내륙과 대만지역은 패키징 테스트 및 웨이퍼 제조 분야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거대한 반도체 소비국인 중국은 세계 최대의 반도체 제품 소비시장이자 세계 반도체 산업의 발전을 위한 중요한 지지대이다. 따라서 미·중 갈등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같은 여러 요인을 배경으로 반도체 기술 경쟁 속에서 한국과 중국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 것에 대한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급변하는 세계 시장에서 한국과 중국의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분석하고 상호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는 데에 주된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양국 반도체 산업을 PEST 분석과 SWOT 분석을 활용하여 한국과 중국의 반도체 산업을 분석했다. 한국의 메모리 반도체 핵심기술은 다른 나라보다 앞서 있지만 시스템 반도체 아직 부족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기술적으로는 미국에 의존하고 있고, 장비와 원자재는 일본제약을 받고 있다. 한편 중국은 내수 시장, 정책, 자본 등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그러나 과학기술 분야는 여전히 상대적인 격차가 존재하며, 특히 반도체 산업의 역량은 취약하다. 따라서 한국은 중국의 시장이 필요하며 중국은 한국의 반도체 기술이 필요하다. 한국과 중국의 반도체 공급망은 나눌 수 없는 관계로 복잡한 국제 정세에서 한국과 중국의 반도체 산업은 산업 발전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협력하고 상생해야 한다. 한 · 중의 협력은 양국의 반도체 산업의 잠재력을 실현하고, 반도체 산업 체인을 공동으로 구축하며, 한 · 중의 상생을 실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영어초록

    The semiconductor industry is often referred to as the "brain of manufacturing," making it a critical industry for a country. As an important weapon of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semiconductor industr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a country's position in global economic integration and digital competition. The semiconductor industry is a strategic, basic and leading industry that supports the development of modern economic society, and is a key driver of new technological revolutions and industrial transformation. Unlike other industries, the semiconductor industry has a very high technical barrier, and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increasing share of the digital economy in the national economy, the application range of semiconductor products will become wider and wider. South Korea focuses on memory semiconductor technology. Japan has an advantage in semiconductor sub-sectors (materials, components, equipment). Europe is strong in power semiconductors and microcontrollers, while mainland China and Taiwan are leading in packaging testing and wafer fabrication. As a huge consumer of semiconductors, China is the world's largest consumer market for semiconductor products and an important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the global semiconductor industry. Therefore, the question of how Korea and China should respond to the competition in semiconductor technology against the backdrop of several factors such as the US-China conflict and the Russian-Ukrainian war is very important.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ompetitiveness of the semiconductor industries of Korea and China in the rapidly changing global market and to discuss ways of mutual cooperation. The semiconductor industries of Korea and China were analyzed using PEST analysis and SWOT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s core technology for memory semiconductors is ahead of other countries, but system semiconductors are still lacking. In addition, Korea is dependent on the United States for technology and Japan for equipment and raw materials. China, on the other hand, has advantages in domestic markets, policies, and capital. However, there is still a relative gap in science and technology, especially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Therefore, South Korea needs China's market and China needs South Korea's semiconductor technology. The semiconductor supply chains of Korea and China are indivisible, and in the complex international situation, the semiconductor industries of Korea and China must cooperate and win-win to reduce the risks of industrial development. Korea-China cooperation is conducive to realizing the potential of the semiconductor industry in both countries, jointly building a semiconductor industry chain, and realizing a win-win situ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영컨설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