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의 반(反)접근·지역거부 도전과 미국의 군사적 응전: 공해전투에서 다중영역전투까지 (Challenge of China's Anti-access/Area Denial (A2/AD) and Response of U.S. Military: From AirSea Battle to Multi-domain Battl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9.02
30P 미리보기
중국의 반(反)접근·지역거부 도전과 미국의 군사적 응전: 공해전투에서 다중영역전투까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군사학논집 / 75권 / 1호 / 125 ~ 154페이지
    · 저자명 : 김재엽

    초록

    2010년대 이래 중국이 정치·군사적 강대국으로 부상하면서, 미국의 패권에 기반을 둔 동아시아 지역의 안보질서는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다. 특히 중국이 동아시아에 대한 미국의 군사적 개입을 좌절시키기 위한 반(反)접근·지역거부 능력을 강화, 발전시키면서, 이러한 우려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에 미국은 2010년대 초 해·공군력을 중심으로 중국의 반(反)접근·지역거부 위협을 분쇄하는 공해전투를 제시했다. 그러나 공해전투는 중국과의 확전 위험을 높여 동아시아에서 전략적 불안정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비판에 직면했다. 2016년부터 미 육군이 추진하고 있는 다중영역전투는 지상 배치 전투력의 해·공역 투사(投射)를 통해 중국의 반(反)접근·지역거부 위협을 극복, 상쇄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한국도 향후 예상되는 중국과의 군사적 분쟁에 대응하기 위한 독자적인, 혹은 주한미군을 포함하는 한미 연합전력 차원의 노력을 효과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도록, 다중영역전투의 효용성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As China has become a dominant politico-military power, regional security order in East Asia, which heavily relied on hegemony of the U.S., is facing a growing strategic challenges. Especially China's evolving military capabilities for Anti-access/Area Denial (A2/AD), which can discourage the U.S. military power for intervention toward East Asia, are heightening such concerns. In response, the U.S. sought to develop AirSea Battle concept, which pursued to destroy China's A2/AD threat by naval and aerospace power. However the idea of AirSea Battle was criticized for possible risk of escalating politico-military conflicts between the U.S. and China into a full-scale war. Later, Multi-domain Battle concept, pursued by the U.S. Army since 2016, is getting attention for emphasizing “combat power projection from land into maritime and aerial domain" to overcome A2/AD challenges from China. Korea also needs to closely study the utility of Multi-domain Battle 1) to cope with the possibility of military contest with China; and 2) to prepare restructuring of allied defense posture with the U.S., including reshaping missions and force structure of the U.S. troops in Korea,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군사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