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헌법 안과 밖의 사회적 기본권, 그리고 사회국가원리 : 환경권 이해의 발상 전환을 위하여 (The Social Rights inside and outside the Constitution in Relation to the Principle of Social Stat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1.02
24P 미리보기
헌법 안과 밖의 사회적 기본권, 그리고 사회국가원리 : 환경권 이해의 발상 전환을 위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학연구 / 22권 / 1호 / 209 ~ 232페이지
    · 저자명 : 장철준

    초록

    환경권은 사회적 기본권인 것은, 단순히 환경권을 규정한 헌법 제35조가 다른 사회적 기본권과 비슷한 위치에 있기 때문만은 아니다. 환경권이 지향하는 기본권으로서의 정체성과 담고 있는 내용이 인간의 자유를 지키기 위한 사회적 조건과 국가의 역할을 규율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기본권적 본질이 1980년 헌법에 편입될 당시의 그것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당시 국민이 가졌던 환경에 대한 의미, 환경권의 가치에 관한 생각 등은 지금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다르다. 자연히 환경권의 내용이나 역할 또한 우리 헌법 체계가 수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수정이 있어야 한다. 물론 그 범위는 환경권 헌법해석의 한계가 될 것이다. 바이러스가 전 세계에 걸쳐 창궐하고 기후변화의 징후는 직접적으로 우리 생활에 영향을 주고 있다. 멀게만 생각되었던 환경오염의 피해가 구체적으로 모두에게 다가오는 시점에서 환경권에 대한 해석은 이제 인류 차원의 거시적 차원을 떠나 나와 이웃의 생존이라는 지점까지 내려왔다. 환경의 헌법적 권리가 그저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권리”로 기술되는 정도를 지났으며, 현재와 미래의 생존에 관한 의미가 이제 환경권의 내용에 빠질 수는 없다. 헌법재판소는 최근 판례를 통해 특정 법률에 의존하지 않고도 환경권에서 독자적 보호청구권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인정하고, 이를 근거로 안온한 생활 방해를 초래한 법률의 위헌성을 확인하였다. 환경권 내부에 사회권 뿐 아니라 자유권적 본질이 있음을 인정한 것이다. 자유권과 사회권을 엄격히 분리하는 전통적 기본권체계에 입각한 관점에서는 비판을 제기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우리 사회적 기본권의 헌법현실을 생각한다면 그것이 헌법구조에 본질적으로 역행하지 않는 한, 진전된 관점의 변화가 필요하다. 그것은 사회적 기본권의 이론적 전제인 사회국가원리에 대한 조명 작업이다.

    영어초록

    The reason why the right to a healthy and pleasant environment is categorized into social rights is not just Article 35 that promulgates the right is in the social rights part of the Constitution. Its identity and contents as a fundamental right regulates the social circumstance and the state’s role to protect human rights. However, The essence of the envirionmental right does not have to be limited by what it meant in 1980 when it was enacted in the Constitution. What the people thought about the importance and value of the environment at that time is incomparably different from what we do now. Therefore, the contents and role of the right should be changed following the people’s concept within a possible rage of our constituional system which would be a limit of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The coronavirus pandemic and the world-wide climate change wield direct influence on our daily lives. In the time of environmental pollution that was thought of the other’s business but proven not, the constituional interpretation on the environmental right should be regarded as my own matter departing from the league of human race. The constitutional environmental right is not just a descriptive right to live in a healthy and pleasant environment any more: it should contain the matter of survival in the present and the future.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recently issued a decision that the right to healthy and pleasant environment can be an independent foundation for a claim for protection. At the same time, the Court found a statute that does not strictly regulate the noise of an amplifier during an election campaign unconstitutional. The decision means the Court’s acceptance of the fact that the environmental right includes an essence of liberty rights as well as social rights. The traditional jurisprudence that understands constitutional righs with the framework of stric dichotomy between liberty rights and social rights criticizes the Court’s decision. However, considering our constitutional practice of social rights, which has not been effectively protected, we need an elevated change of interpretation unless it is retrogressive in our constitutional structure. At the same time, the change means an exploration on the principle of social state that is a theoretical premise of social righ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