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왕경의 안과 밖:GIS를 이용한 도시 공간구조 분석 (Inside and Outside of the Silla Capital: An Analysis of Urban Spatial Structure Using GI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0.05
32P 미리보기
신라 왕경의 안과 밖:GIS를 이용한 도시 공간구조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상고사학보 / 108권 / 108호 / 61 ~ 92페이지
    · 저자명 : 강동석

    초록

    신라 왕경은 주변 지역과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도시체계를 이루고 있었다. 이는 왕성왕경-왕도-왕기-외연지역이 연계된 대도시권의 공간구조로 이해할 수 있으며, 공간적 범위는 월성으로부터 반경 30km~40km 권역으로 추정된다. 대도시권의 가장 외곽에 위치한 외연지역은 철, 소금, 농업생산물 등을 직접 생산하여 왕경에 공급하는 기능을 하였을 것이다. 왕기는 토기, 기와, 숯 등과 같은 수공업품의 생산을 통제하며 왕경과 경제적 상호관계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그 권역은 대체로 왕성에서 반경 20km로 상정된다. 왕도는 왕경 도시민의 일상생활권으로, 왕성으로부터 반경 약5km의 권역에 해당한다. 왕경은 정치·경제·종교의 중심지로서 방리제에 의해 도시구획이 이루어진 권역에 속하며, 왕성으로부터 반경 3km 권역으로 볼 수 있다. 왕성은 도시체계의 최정점에서 대도시권 전체를 통제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왕경을 중심으로 한 대도시권의 형성은 중고기 왕경의 본격적인 개발에서 비롯되었다. 이 시기 왕경 내부의 토지 이용 패턴 변화는 도시 공간구조를 크게 바꾸었다. 6세기 이후 왕경의 개발은 하성평탄지의 개발과 사찰의 건립, 왕경 중심부 선상지의 생활공간 점유와 수장층 고분군의 외곽 이동이라는 변화가 있었다. 이것은 도시 팽창과정에서 사찰 건립과 동시에, 대규모 토목공사를 진행하여 주거지와 농경지를 추가 확보하려는 수창층의 공간 이용전략이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당초 선상지에 조영되었던 매장공간을 산지로 이동한 것도 생활공간의 확보라는 토지이용 전략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고 해석된다. 이러한 왕경 중심부의 공간구조 변화는 왕실에 의한 도시 경관의 전략적 이용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즉, 수장층은 정치 권력의 확대 전략으로서 각 단위 공간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을 고려하여 도시의 구조를 재편하였으며, 이는 정치적 경관으로 작용하였다.
    이와 같은 중고기 대규모 사찰 건립에서 비롯된 왕경 내부의 공간구조는 사실상 왕궁-사찰간의 새로운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하였다. 왕궁과 사찰의 네트워크 중심성을 측정한 결과, 왕궁은 근접중심성뿐만 아니라, 위세중심성,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도 높았다. 이것은사찰을 매개로 구성된 네트워크 조직 내에서 월성이 권력과 영향력을 행사하며 상호작용을 통제할 수 있는 공간적 우위를 확보하고 있었음을 보여 준다. 이러한 공간적 지위는 왕실이 왕경이라는 도시체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중요한 기반으로 되었을 것이다.

    영어초록

    Silla capital can be understood as a city system that had interdependent relations with the surrounding area, forming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metropolitan area with which the royal palace(王城), capital district(王京), capital(王都), its environs(王畿), umland(外緣地域) were linked. These metropolitan areas are estimated to have a radius of about 30 to 40 kilometers from the royal palace. The umland, located on the outskirts of the metropolitan area, is believed to have been responsible for producing iron, salt and agricultural products directly and supplying them to the capital. Its environs controlled the production of handcraft goods such as earthenware, roof tiles and charcoal, forming an economic interaction with the capital, which is assumed to have a radius of about 20 kilometers from the royal palace. The capital is the daily life of the city dwellers of the capital district, which covers a radius of about five kilometers from the royal palace. The royal palace belongs to the area where urban zoning was made by the system, and as a political, economic, and religious center, it forms a three-kilometer radius. It played a role in controlling and maintaining the entire metropolitan area at the apex of the urban system.
    This formation of the Silla capital metropolitan area resulted from the full-fledged development of the capital. Changes in the pattern of land use within the capital during this period greatly changed the city’s spatial structure. Since the 6th century, the Silla capital’s development can be largely explained by the development of the alluvial plains and the construction of temples, the occupation of living space by the alluvial fan in the central part of the capital and the movement of the ancient tombs.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e space utilization strategy of the loyal court, which is intended to secure additional residential and agricultural land by conducting large-scale civil engineering projects, simultaneously with the construction of temples during the urban expansion process. The fact that the burial space, which was originally built on the alluvial fan, was moved to the mountain and used as a living space seems to be related to securing such residential space. These changes in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center of the capital district are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strategic use of the landscape by the royal. The spatial structure of a city can be understood as a political landscape in that it is created in consideration of its social role and function, and the construction of Buddhist temples following the full-scale development of the capital can be explained in this context.
    The spatial structure inside the capital, which resulted from the construction of such a large-scale temple, effectively formed a new social network between royal palaces and temples.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network centrality, the royal palace was high not only closeness centrality, eigenvector centrality and degree centrality, but also betweenness centrality. This shows that within the network organization, the capital had the spatial advantage of exercising power and influence and controlling interaction. This spatial status would have served as an important basis for Silla’s the royal family to form the urban system of the capit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1 오전